“연락채널 복구가 우선”…정동영 통일부 장관, 남북 대화 재개 의지 천명
남북 소통단절 장기화가 한국 정치의 고착 구조가 됐다. 정동영 통일부 장관이 취임 직후 연락채널 복구와 남북 대화 재개를 최우선 과제로 제시하면서, 남북관계 회복의 실마리가 마련될지 정가의 관심이 집중됐다.
정동영 신임 통일부 장관은 25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취임식에 앞서 취재진과 만나 “하루빨리 (남북) 연락채널을 복구하고 대화를 복원하는 것이 제가 해야 할 일”이라고 강조했다. 정 장관은 최근 판문점을 방문해 직접 직통전화 호출을 시도하며 2년 넘게 단절된 남북 연락채널 상황을 점검했다고 밝혔다.

정 장관은 10월 경주에서 예정된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 정상회의가 북미 정상회담의 계기가 될 수 있냐는 전망에 대해 “너무 촉박하다”며, 우선 남북 대화의 물꼬를 트는 것이 더 시급하다는 입장을 드러냈다. 통일부 명칭 변경에 대한 질문에는 “무엇이든 우선순위가 있는데, 통일부 명칭 변경은 우선순위가 아니다”라고 일축했다.
조직 축소 논란과 관련해 정동영 장관은 윤호중 행정안전부 장관에게 “감축 전 정원을 회복시켜달라고 요청을 이미 해놓았다”고 말했다. 그는 또한 북한이탈주민 정책 이관에 대해서도 “탈북민에 대한 정부의 서비스도, 탈북민의 입장에서 봐야 한다”며 앞으로 다양한 의견을 수렴하겠다는 입장을 피력했다.
정 장관은 취임사에서 “상호 공존을 위한 가장 현실적이고 실용적인 방안이 연락채널을 신속히 복구하는 것”이라며 “작은 소통에서 시작해 큰 대화로 이어 나가야 한다”고 했다. 북한을 향해서는 “지난 3년은 남북 간에 최악의 시간, 적대와 대결로 서로를 맞받아쳤던 강대강의 시간이었다”며 “이제 강대강의 시간을 끝내고 선 대 선의 시간으로 바꿔야 한다”고 촉구했다.
그는 대북 심리전 방송과 확성기 방송 중단이 신뢰 회복의 첫 신호임을 상기시키면서, 앞으로 남북이 군사적 긴장완화에 성과를 낸다면 “다시 머리를 맞대고 대화를 시작할 날도 올 것”이라고 내다봤다. “적대와 대결의 시간을 뒤로 하고 다시 화해와 협력의 시대를 열어가자”고 포부도 밝혔다.
통일부 정책의 ‘대전환’ 방향으로 정 장관은 남북 간 평화공존, 평화경제와 공동성장, 국민주권 대북정책을 꼽았다. 남북 경제협력의 새로운 모델로 한반도 AI 등 첨단 분야 협력 방안도 모색하겠다고 밝혔다. 국민주권 대북정책을 위해 사회적 대화기구 출범, 국회와 초당적 협력 강화를 방안으로 제시했다.
조직 개편에 대해선 “남북관계를 관리하고 한반도 평화공존을 이끌어야 할 통일부 조직은 축소됐고 역할과 기능도 왜곡됐다”며 “한반도 평화와 남북관계 복원, 그리고 통일부 정상화는 시대적 과제”라고 역설했다.
이날 국회와 정치권은 정동영 장관의 취임 메시지에 대해 기대감과 우려가 교차하는 입장을 내놨다. 여야 모두 남북 연락채널 복원 의지에는 공감하면서도, 교류·협력 방식과 조직 개편에 대해서는 향후 논쟁이 예상된다. 정부는 대화 복원 및 조직 정상화를 위해 후속 조치에 착수할 방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