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현충원 만장 임박”…이정문, 순직 제복 공무원 예우 강화 촉구
서울 동작구에 위치한 국립서울현충원의 안장 여유가 급격히 소진되며, 순직 제복 공무원 예우 문제가 정치권 쟁점으로 떠올랐다. 국립서울현충원 안장 공간이 43기만 남았다. 이에 따라 향후 2030년 이후에는 만장 상태가 불가피하다는 우려가 제기된다.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이정문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22일 국가보훈부 자료를 분석한 결과, 국립서울현충원의 총 안장 가능 기수는 5만4천810기다. 현재 5만4천767기가 매장돼, 남은 안장기수는 43기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묘역별로 살펴보면, 국가원수, 독립유공자, 장군, 일반묘역은 이미 만장 상태에 도달했다. 5만3천292기의 일반묘역도 모두 찬 상황이다.

경찰 묘역은 906기 중 878기가 안장되며 28기밖에 남지 않았고, 임시정부 요인 묘역 역시 33기 중 18기가 사용돼 남은 기수가 15기에 그치고 있다. 국가보훈부는 경찰 묘역은 2027년, 임정요인 묘역은 2030년 이후 만장이 예상된다고 설명했다.
이정문 의원은 "경찰 묘역의 경우 금방 만장 상태가 될 것이고 소방 공무원의 경우에는 묘역조차 없다"며 "서울현충원의 묘역 추가 조성 등 대책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이어 "최근 순직한 고 이재석 경사처럼 국가와 국민에 헌신하는 제복 근무자들의 희생에 대한 예우는 끝이 없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해당 발언은 최근 순직 경찰관, 소방관에 대한 국가 차원의 예우 강화 요구와 맞물려 정치권에서 파장이 확대되고 있다.
여야 정당 역시 관련 대책 논의에 주목하는 분위기를 보였다. 더불어민주당 측은 현충원 묘역 추가 조성과 제복 공무원 예우 강화 필요성을 전면에 내세웠고, 여권 주류 또한 “국가공헌자에 대한 합당한 예우가 필요하다”며 대책 검토 가능성을 내비쳤다. 반면 정부 당국은 “현충원 만장에 대비한 다양한 추가 조성 방안을 조속히 검토하겠다”고 밝혔다.
정치권은 이번 현충원 만장 이슈가 국가유공자 예우와 직결된 만큼, 향후 국회 차원의 추가 논의가 불가피하다는 전망이 나온다. 국회 정무위원회와 국가보훈부는 향후 관련 대책을 마련하기 위한 협의에 즉각 착수할 방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