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차·기아·BMW 리콜 확대”…57개 차종 26만184대 점검→품질 신뢰성 시험대
국내 자동차 시장에서 현대자동차, 기아, BMW코리아, 스텔란티스코리아 등 4개사의 57개 차종 26만184대가 리콜 대상으로 지적되며 업계 전반이 품질 신뢰성에 대한 해묵은 고민 앞에 다시 섰다. 국토교통부는 배터리관리시스템, 연료필터, 시동모터, 엔진 감지 부품의 결함을 원인으로 대규모 자발적 시정조치가 단행되고 있음을 30일 공식화했다.
이번 조치의 핵심은 친환경차와 내연기관차 구분 없이 전방위적으로 결함이 발견됐다는 점이다. 현대차 포터Ⅱ 일렉트릭과 기아 봉고Ⅲ EV 등 전기차 14만 대가 BMS 소프트웨어 결함으로 화재 위험을 안았고, 투싼·셀토스 등 주요 내연기관 모델에서도 연료필터 설계 오류에 기인한 시동 꺼짐 현상이 포착됐다. BMW코리아는 50개 차종에 이르는 7만여 대에서 시동모터 내 수분 침투로 인한 화재 가능성을, 스텔란티스의 지프 그랜드 체로키는 엔진 부품 결함으로 주행 중 구동력 상실 위험을 안게 됐다. 전방위적 결함 범위와 생산기간 다변성은 현행 품질 관리 체계와 안전성 평가의 한계도 함께 노출했다.

기업별 자발적 리콜 및 신속 조치는 사회적 신뢰 유지의 최소 조건이자, 향후 안전규제 강화와 소비자 보호 정책의 변화를 예고한다. 자동차 업계는 이번 리콜 파동이 브랜드별 품질경쟁력과 후속 조치 투명성에 직결될 것으로 분석했다.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자동차공학과 이정욱 교수는 “자동차 제조사의 리콜 대응은 단순한 하자 보수의 문제가 아니라, 고객 신뢰와 글로벌 시장 신인도의 기초가 된다”며 “정밀한 원인 분석과 사후관리 역량이 궁극적으로 브랜드 가치를 좌우할 것”이라고 진단했다. 국토교통부는 추가 결함 사례에 대비한 모니터링을 강화한다는 방침이다. 업계와 기관은 리콜 이후 품질 관리와 규정 정비, 예방적 안전대책 수립이 동반돼야 한다는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