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란 관련 증거인멸 수사”…내란특검, 홍철호 전 정무수석 재소환 조사
내란 및 외환 관련 의혹을 둘러싼 정치적 충돌이 다시 뜨겁게 타오르고 있다. 조은석 특별검사팀이 22일 홍철호 전 대통령실 정무수석비서관을 피의자 신분으로 소환 조사하며 내란 사건 증거인멸 논란이 확산되고 있다. 특검팀은 비상계엄 사태를 둘러싼 핵심 인물들의 행적 및 통신 내역을 집중 분석 중이다.
이날 조은석 특검팀은 서울 모처에서 홍철호 전 수석을 직접 소환해 조사했다. 홍 전 수석은 이미 지난달 참고인 신분으로 한 차례 특검 조사를 받았으나, 이번에는 증거인멸 혐의가 부각되며 피의자로 불려왔다. 특검의 수사는 홍 전 수석이 대통령실에서 퇴임한 뒤 기존 휴대전화를 교체한 사실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해당 휴대전화에는 내란 사건 관련자들과의 통화 내역이 저장된 것으로 알려지면서, 단순 개인적 기기 교체가 아닌 증거인멸을 위한 조치였는지 여부가 쟁점으로 부상했다.

홍 전 수석은 특히 윤석열 전 대통령의 12·3 비상계엄 선포 직후인 밤 11시경 추경호 당시 국민의힘 원내대표와 통화한 사실이 새로 드러났다. 이 통화 내용이 추 원내대표의 '국회 계엄 해제 표결 방해 의혹'과 어떤 연관이 있는지에 대해 특검팀이 정밀 수사를 이어가고 있다.
정치권에서는 이번 특검 소환이 향후 정국에 미칠 영향에 주목하고 있다. 야권은 내란 및 외환 의혹 전반에 걸친 철저한 진상 규명을 촉구하며 "책임자 처벌이 반드시 이뤄져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반면, 홍 전 수석 측은 계엄 선포 계획을 사전에 전혀 인지하지 못한 상태에서 당일 선포 직전에야 전달받았다는 공식 입장을 거듭 강조했다. 그는 앞서 검찰 비상계엄 특별수사본부 조사에서 "대통령이 '저를 설득하지 말라' 혹은 '저한테 설명하지 말라'는 언급을 했다"며, 그때에서야 비상계엄 준비 사실을 확인했다고 진술한 바 있다.
한편 조은석 특검팀이 홍 전 수석 소환을 계기로 내란 관련 휴대전화 교체 행위, 통화 내역 등 주요 증거 확보에 주력하면서 수사 속도가 한층 빨라질 것이라는 전망도 나온다. 정치권 안팎에서는 "비상계엄 및 관련 의혹이 총선을 앞둔 여야 간 정면 충돌의 도화선이 될 수 있다"는 우려도 제기됐다.
국회와 정치권은 내란 및 외환 관련 특검 수사가 본격화되면서 치열한 공방과 진상 규명을 둘러싼 논쟁이 더욱 고조되고 있다. 특검팀은 향후 관련 인물 추가 소환과 물증 확보를 이어갈 방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