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튬배터리 화재에 정부 서비스 차단”…국가정보자원관리원, IT 인프라 리스크 부각
국가정보자원관리원의 핵심 IT 인프라에서 발생한 리튬 배터리 화재가 정부 디지털 서비스의 취약성을 드러냈다. 대전 유성구에 위치한 이 데이터센터는 각종 행정, 민원, 사회안전 서비스의 중추 역할을 담당해왔다. 이날 오후 8시15분 시작된 화재는 2시간 넘게 진화 작업이 계속되면서 국민신문고, 정부24 등 70여 개 정부 온라인 서비스 접속이 일시적으로 마비되는 사태로 이어졌다. 직후 소방청은 “119 신고·접수 시스템은 정상 운영”이라고 밝혔으나, 영상신고와 구급스마트 등 일부 부속 기능에서는 장애가 확인됐다.
관계 당국과 소방청에 따르면, 화재는 전산실에 설치된 리튬 배터리에서 급작스럽게 발화됐다. IAAS(인프라형 서비스), PAAS(플랫폼형 서비스) 등 클라우드 기반 서비스가 다수 구동되던 환경이었던 만큼, 이중화와 백업 체계에도 불구하고 메인 서버 트래픽이 크게 저하됐다. 기술적으로는 리튬 배터리 대기전력과 열폭주(thermal runaway) 현상이 ICT시설 화재의 주된 리스크로 꼽힌다.

국가정보자원관리원은 올해 초까지 전력·냉각 시스템을 강화하며 대응 체계를 점검해 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번 화재에서 일부 대룸 내 인명의 인명 피해, 그리고 대규모 서비스 중단이 현실화됐다. 업계에서는 “초고집적 데이터센터의 경우 전력 안전관리와 장애시 복구 프로토콜이 결정적”이라는 진단을 내놓고 있다.
글로벌 시장에서는 미국과 유럽이 데이터센터 화재·장애를 대비해 실제 재난 복구훈련(DR; Disaster Recovery)을 정기적으로 실시하고 있다. 일본 정부 클라우드도 이원화 센터운영, 실시간 데이터 백업을 의무 구조로 도입한 바 있다. 이번 사례는 국내 공공 IT 인프라의 위험 분산과 위기관리, BCP(비즈니스연속성계획) 보강 필요성을 시사한다.
현행 국내 법령은 전산실 내 소방안전관리 강화, 장애시 응급복구 매뉴얼을 정부기관에 의무화하고 있으나, 민원·재난관련 시스템의 한계가 일부 노출된 것으로 전문가들은 분석했다. 이에 대해 정보보호 전문가들은 “상시 이중화, 온·오프라인 백업 체계, 리튬배터리 안전성 재점검 등 다층적 리스크 관리가 필수”라며, “클라우드화와 함께 실제 재난 상황에 대비한 주기적 점검이 선진화의 관건이 될 것”이라 내다봤다.
산업계는 대형 공공 전산 인프라의 안전성이 앞으로 디지털 행정의 신뢰와 직결된다는 점에서 기술·제도 양면의 근본적 개혁 필요성에 시선을 모으고 있다. 기술 안정성과 위기 대응 체계간의 균형이 디지털 전환 가속기에 더욱 강조될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