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미 2분기 성장률 3.8% 기록”…미국, 소비·순수출 호조에 경기회복 기대감

윤가은 기자
입력

현지시각 기준 25일, 미국(USA) 상무부는 2025년 2분기 국내총생산(GDP) 증가율 확정치를 전 분기 대비 연율 기준 3.8%로 공식 집계했다. 이는 잠정치 3.3%를 0.5%포인트 웃도는 결과로, 시장 전망치를 크게 상회했다. 이번 성장률은 2023년 3분기(4.7%) 이후 7개 분기 만의 최고치로, 침체 우려가 남아있던 미국 경제에 기대감을 다시 불러일으키고 있다.

 

상무부 집계에 따르면 2분기 미국 경제의 신장은 관세 부과 전 재고 확보 영향이 해소되며 수입이 크게 감소한 점이 핵심 배경이 됐다. 이에 따라 순수출이 GDP 성장률을 4.83%포인트 끌어올리는 데 주요 역할을 했다. 또한 개인소비 증가율이 2.5%로 상향 조정됐으며, 이는 잠정치(1.6%)를 크게 상회하는 수치다. 민간구매 최종판매 등 주요 민간지출도 2.9% 늘어나며, 경제 성장의 새로운 모멘텀으로 평가됐다.

미 2분기 GDP 성장률 확정치 3.8%…개인소비·순수출이 상승 견인
미 2분기 GDP 성장률 확정치 3.8%…개인소비·순수출이 상승 견인

미국은 그간 소비 둔화와 고금리 부담, 무역마찰 우려 등으로 성장세가 주춤할 것이란 분석이 지배적이었다. 그러나 이번 확정치는 미국 경제의 내구력이 예상보다 강하다는 사실을 시사한다. 특히 소비와 민간지출 증가가 단순 이월 효과를 넘어, 실제 수요 회복과 직결된 것으로 해석된다. 반면, 상무부는 1분기 성장률을 -0.5%에서 -0.6%로 소폭 하향했다. 이는 투자·정부지출·수출 둔화가 반영된 결과다.

 

이에 대해 블룸버그, 월스트리트저널 등 주요 외신은 “경기침체 우려 속에도 미국 경제는 예상외의 저력을 보이며 성장세를 이어갔다”고 평가했다. 하지만 전문가들은 “관세 인상에 따른 물가 상승 압력, 실질소득 감소 가능성이 하반기 경기 둔화로 이어질 수 있다”고 신중한 태도를 보였다.

 

앞으로 미국 연방정부의 무역·관세 정책, 글로벌 소비 수요 흐름 변동 등이 경기 전망을 좌우할 전망이다. 경제 전문가들은 “미국 경제가 당분간 견조한 기조를 이어가겠지만 외부 변수에 따라 성장 탄력이 제약될 수 있다”고 진단했다. 국제사회는 관세 정책과 소비 동향이 향후 세계 경제에 미칠 영향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윤가은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미국#개인소비#gd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