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항 이전 더는 미룰 수 없다”…무안시민단체, 국회서 정부와 지자체 협상 촉구
광주 민간 및 군 공항 이전을 둘러싼 무안시민단체와 정부, 지자체 간 갈등이 다시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장기 표류 중인 공항 이전 문제 해결에 답보 상태가 이어지는 가운데, 무안지역 시민단체들이 직접 국회로 올라와 “더 이상 시간을 허비하지 말라”고 대정부, 지자체를 동시에 압박하고 나섰다.
(사)무안국제공항발전협의회와 무안공항 원주민대책위원회, 광주군공항이전추진위원회는 9월 25일 국회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무안군은 군민 생존과 전남 발전을 위해 대화의 장에 즉각 참여하고 대의를 실천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이들은 “6자 TF팀에 조속히 합류해 주민 목소리를 제대로 전달하고, 책임 있는 협상을 통해 실질적 이익을 확보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특히 김영록 전라남도지사에겐 “무안군의 요구사항인 광주 민간공항 호남고속철도 2단계 개통 전 선행 이전과 광주시의 1조원 지원 보장안을 정부와 빠르게 마련하라”고 요구했다. 이어 강기정 광주시장에게도 “KTX 무안공항 개통식과 동시에 민간공항 이전을 명확히 발표하고, 무안군에 대한 이전 지원도 반드시 이행하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단체들은 무안군에 대해 “광주 민간공항과 군공항 이전을 통해 서남권 거점공항으로 성장하려면 대화에 즉각 참여해야 한다”고 전달했다.
이와 관련해 이재명 대통령은 지난 6월 “광주 군 공항 이전 문제의 장기 표류를 끊어야 한다”며 범정부·지자체 TF 구성을 지시한 바 있다. 이에 광주시, 전라남도, 무안군, 국방부, 국토교통부, 기획재정부 등도 대통령실 직속 광주 군 공항 이전 TF 구성에 나서고 있으나, 실무 협의 단계에 머무리며 이렇다 할 진전을 보이지 못하고 있다는 평가다.
시민단체의 촉구에 대해 정부와 지자체는 공식 입장 없이 추가 실무 논의만 이어가고 있다. 이전 논의 지연에 무안군 내 피로감이 누적되고, 광주·전남 지역의 미래 발전 전략이 흔들릴 수 있다는 우려도 커지고 있다.
국회는 조만간 광주 군 공항 이전 관련 상임위에서 관계 기관의 보고를 청취할 예정이다. 정치권과 정부, 지자체가 민간·군공항 이전 해법 마련을 두고 본격적인 협상 국면에 들어설 수 있을지, 여론의 이목이 쏠리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