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작 공백 여파 지속”…카카오게임즈, 2분기 적자 속 글로벌 출격 나선다
카카오게임즈가 올해 2분기 연속된 신작 부재로 실적이 하락하며 변곡점에 직면했다. 6일 공개된 2분기 실적은 매출 1158억원, 영업손실 86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매출이 24% 줄고 적자 규모도 크게 남았다. 업계에서는 이번 발표를 모바일게임 시장 경쟁의 분기점으로 평가한다.
카카오게임즈의 2분기 매출은 모바일 게임 1010억원, PC온라인 게임 148억원을 합산해 전년 대비 각각 26%, 9% 감소세를 보였다. 올해 1분기에 이어 연속 적자지만, ‘오딘: 발할라 라이징’과 자체 제작 IP의 비중 확대 덕분에 전분기보다 영업손실 폭은 31%가량 줄였다.

기술적으로 카카오게임즈는 유명 IP 기반 개발력과 라이브 게임 운영 전략을 내세우고 있다. 특히 ‘오딘: 발할라 라이징’의 글로벌 시장 확장, 수집형·전략형·MMORPG 등 다양한 라인업 확대가 기존 매출 하락을 방어하고 있다는 분석이다. 새롭게 추가된 ‘프로젝트 C’, ‘프로젝트 OQ’, ‘던전 어라이즈’ 등 신작은 자체 개발 혹은 퍼블리싱을 통해 IP 포트폴리오를 넓히고 있다.
시장에서는 하반기 신작 흥행과 글로벌 공략이 실질적 실적 개선의 열쇠로 주목된다. 9월 공개 예정인 모바일 액션 RPG ‘가디스오더’, 오션드라이브 스튜디오가 개발하는 ‘갓 세이브 버밍엄’의 게임스컴 협업 등 신작 출격을 통한 매출 반등 기대가 높아지는 상황이다. 카카오게임즈는 또 ‘크로노 오디세이’, ‘아키에이지 크로니클’, ‘프로젝트 Q’ 등 여러 장르와 플랫폼 대형 신작 개발로 해외 시장 중심의 성장 행보를 강화 중이다.
글로벌 게임사와의 경쟁에서 카카오게임즈는 유명 IP 활용, 장르 다변화, 현지화 전략 경쟁력을 앞세우고 있다. 로컬라이징, 라이브서비스 강화 등 새로운 시도로 일본, 북미 시장 진출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반면 글로벌 시장에서는 텐센트, 넥슨 등 대형 게임사와의 지속적 신작 경쟁도 이어지고 있어 업계 전반의 신작 사이클 변화가 실적 개선의 관건이 되고 있다.
현행 한국 게임산업 규제 환경에서는 셧다운제, 청소년 결제 규제 등 준법 관리와 게임물 관리위원회 등 심의 허들이 여전하다. 글로벌 확장에 맞춰 데이터 유지, 플랫폼 연동, 사전예약 마케팅 등 인프라 투자도 동반돼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전문가들은 앞으로 카카오게임즈의 미래 성장성과 신작 성과가 글로벌 게임 산업 변환의 시험대가 될 것으로 본다. 한상우 카카오게임즈 대표는 “IP 경쟁력 강화 및 다장르 신작 개발에 주력해 지속가능한 성장을 도모하겠다”고 밝혔다. 산업계는 이번 하반기 글로벌 게임 출시와 신작 성공이 실제 시장에 안착할 수 있을지 주시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