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관세 충격”…제약사, 美생산 압박에 공급망 재편
미국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오는 10월 1일부터 미국 내 의약품 생산 시설이 없는 외국 제약사 제품에 '100%' 관세를 부과하겠다는 방침을 밝혀, 국내 제약바이오업계가 대미 수출 공급망 재편에 직면했다. 이번 발표는 기존의 최혜국 대우 적용 기대감과 달리 예상보다 강력한 생산 현지화 요구로 업계에 파장을 낳고 있다. 업계에서는 이번 조치를 글로벌 제약 공급망 경쟁의 중대 분기점으로 평가하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25일(현지시간) 소셜미디어를 통해 “미국 내에 제조 공장이 없는 경우, 10월 1일부터 모든 브랜드·특허 의약품에 100% 관세를 부과하겠다”며 구체적인 시행 시기와 조건을 언급했다. 미국 내 생산 중 혹은 이미 공장 착공이 된 경우에는 관세를 면제하되, 건설 준비 단계는 제외한다는 설명도 더했다.

기존까지 한국은 미국과의 무역 협상 및 '최혜국 대우'를 통해 유럽·일본과 비슷한 수준(15%)의 관세 적용 가능성이 열려 있었으나, 이번 발표로 상황이 급변했다. 특히, 이번 방침이 지난 7월 발표한 품목별 관세 결정 이후 내놓아 혼란이 가중되고 있다. 한국바이오협회에 따르면, 구체적인 예외조항, 합의국 파급력, 복제약·바이오시밀러 적용 여부 등도 아직 모호하다는 지적이다.
관세압박의 직접 타깃은 특허의약품과 브랜드의약품에 집중되고 있으나, 현지 공장 없이 수출 중심이었던 국내 제약사들은 공급 체인 전략을 다시 점검해야 하는 상황이다. 셀트리온은 최근 미국 일라이 릴리의 뉴저지주 생산 공장(약 4600억원 규모) 인수를 마무리하며 미국 현지화에 속도를 내고 있다. 회사 측은 “이미 2년치 재고를 미국 내 확보했고, 이후 생산물량은 현지 공급체계로 이동할 것”이라며 "CMO(위탁생산) 수요 증가 등 공급 인프라 확장도 준비 중”이라고 밝혔다.
SK바이오팜 역시 현지 FDA 승인 공장 및 생산라인 가동을 사전에 준비해온 결과, 이번 정책 변화의 직접적 영향은 제한적일 것으로 내다봤다. 단, 업계 전반에 걸친 정책 불확실성, 관세 적용 세부기준 등은 계속 모니터링 중이라는 입장이다.
글로벌 제약 공급망에서는 미국, 유럽, 일본 주요 업체들과 한국, 중국, 인도 업체들 간 현지공장 투자 경쟁이 심화되는 양상이다. 유럽·일본은 이미 미국과의 합의서 문서화를 통해 15% 관세 적용을 공식화했으나, 한국처럼 구두합의 혹은 미확정 국가는 관세 100%까지 치솟을 우려도 배제할 수 없다.
정책 측면에선 미국 FDA, 무역대표부(USTR) 등이 현지화 대책을 압박하는 한편, 기업들은 제조시설 투자 인센티브와 기존 재고 전략 등으로 대응하고 있다. 그러나 구체적 법령화 절차, 복제약 및 바이오의약품(바이오시밀러)까지 확대 적용 여부 등은 여전히 불투명하다.
전문가들은 “미국의 관세 정책은 단순한 통상 이슈가 아니라, 글로벌 바이오의약품 공급망 구조를 뒤흔드는 변수”라며 “장기적으로 미국 시장에선 현지 생산 역량이 산업 도약의 핵심 조건이 될 것”이라고 분석했다. 산업계는 이번 관세 이슈가 실제 시장에 안착할지, 혹은 또 다른 무역 교섭 카드를 촉발할지 예의 주시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