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픔의 역사, 세대를 넘겨 기억해야”…경남 합천서 원폭 희생 영령 추모제 엄수
한국 현대사의 비극적 상흔을 둘러싸고 경남 합천군과 정부, 유족이 맞붙었다. 원자폭탄 투하 80년을 맞이한 6일, ‘한국의 히로시마’로 불리는 합천에서 한국인 원폭 희생 영령들을 추모하는 제80주기 추모제가 엄수되며 세대를 넘겨 역사를 기억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현장에서 진행된 추모제는 단순한 추도 행사를 넘어, 원폭 피해자와 유족의 삶을 좀 더 가까이 살피자는 사회적 요구로 이어지는 양상이다.
행사는 합천원폭피해자복지회관 위령각에서 열렸다. 경상남도는 정통령 보건복지부 공공보건정책관, 김영선 경남도 복지여성국장, 김윤철 합천군수, 장진영 경남도의원, 진경스님(대한불교조계종 사회부장), 박종술 대한적십자사 사무총장 등 정부·지방자치단체 인사와 원폭 피해자, 유가족 등 400여명이 참석했다고 밝혔다. 유래비 제막식과 제례, 추도사, 헌시 시상식, 헌화 순으로 새벽부터 행사가 이어졌다.

박완수 경남지사는 추도사를 통해 “아픔의 역사를 함께 기억하며, 고귀한 희생이 헛되지 않도록 지속적인 관심과 노력을 기울이겠다”고 의지를 밝혔다. 합천군에 따르면 현재 200여명의 원폭 피해자가 거주 중이고, 위령각에는 1천167명의 희생자 위패가 봉안돼 있다.
정치권과 자치단체는 원폭 피해자에 대한 실질적 지원 확대에 무게를 두고 있다. 경남도는 2024년부터 원폭 피해자 1세대를 대상으로 생활 보조 수당을 지급해 왔으며, 앞으로 2세·3세에 대한 의료비 감면 등 추가적인 복지정책을 강구할 계획이다. 합천이 ‘한국의 히로시마’라 불릴 만큼 피폭자 다수가 이 지역 출신임을 고려해 추가 지원수단에 대한 논의도 속도를 낼 전망이다.
다만 원폭 피해자와 유족들은 기존 보상 정책의 한계, 건강권 사각지대 문제 등에 꾸준히 문제를 제기하고 있다. “관심만이 아니라 실질적 의료, 생활지원이 절실하다”는 목소리가 현장에서도 나왔다. 진경스님 등 종교계, 적십자사 등 민간단체 대표들도 함께 연대와 지원을 요청하는 발언을 내놓았다.
이와 관련, 경남도는 향후 피해자 2·3세까지 복지정책 대상을 확대하는 한편, 현장 조사와 의료 지원 확대 프로그램도 내놓을 방침을 밝혔다. 정부 역시 원폭 피해자에 대한 지속적 관심과 배려 의지를 공식적으로 강조하고 있다. 이날 위령각에서 진행된 추모제는 세대를 넘어야 할 역사적 기억의 중요성을 부각시키며, 올해를 계기로 추모와 지원의 확산 계기가 될지 주목 받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