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김건희 통화내역 확보에 압수수색”…민중기 특검, 해병특검 사무실 단서 확보 시도

한채린 기자
입력

학교폭력 무마 의혹을 둘러싼 수사전이 다시 고조됐다. 민중기 특별검사팀이 30일 순직해병특검 사무실을 압수수색하며 김건희 여사 관련 통화내역 확보에 본격 착수했다. 김승희 전 대통령실 의전비서관 자녀 학폭 사건을 둘러싼 권력개입 논란이 특검의 고강도 압수수색으로 이어진 것이다.

 

민중기 특별검사팀은 이날 오전 "학교 폭력 무마에 김건희씨가 관여했다는 의혹 사건 관련, 2023년 7∼9월 김 여사의 통화 내역을 확보하기 위해 순직해병특검 사무실에 대한 압수수색영장을 집행하고 있다"고 공식 밝혔다. 특검팀에 따르면 이번 압수수색은 순직해병특검팀이 확보한 자료를 영장에 의거해 임의 제출받는 절차로, 강제수사와는 결이 다소 다르다고 강조했다.

앞서 특검팀은 의혹의 정점인 학교폭력 심의 과정 파악을 위해 성남교육지원청, 가평교육지원청을 압수수색하고 학폭위 관계자 소환조사까지 진행했다. 이에 따라 특검은 통화내역 분석 이후 김건희 여사 소환 조사로 수사를 진척시킬 계획으로 보인다.

 

김승희 전 대통령실 의전비서관 딸은 2023년 7월 성남의 한 초등학교 2학년 여학생을 폭행해 각막 훼손이라는 중상을 입혔다. 신고로 열린 학교폭력대책심의위원회는 김 전 비서관 딸에게 출석정지 10일, 학급 교체 등 조치를 내렸으나, 5개 지표 합산 점수가 15점에 그쳐 강제전학 처분을 피한 것으로 드러났다. 심의 과정에서 김건희 여사가 장상윤 당시 교육부 차관과 8분여간 통화한 사실이 밝혀지면서, 일각에서는 김 여사가 해당 사건 무마에 영향력을 행사했을 수 있다는 의혹이 제기됐다.

 

특검은 이미 확보한 교육지원청 및 학폭위 자료와 이번 통화내역을 대조해 권력 개입 가능성을 집중 분석하겠다는 방침이다. 정치권 내에서는 김 여사 소환 필요성, 조사 방식 등을 둘러싼 논란이 재점화되고 있으며, 야권에서는 "진실 규명을 위한 신속한 수사가 필요하다"며 압박 수위를 높이고 있다. 반면, 여권은 "정치적 의도에 기반한 권력형 수사 확대는 경계해야 한다"고 방어 논리를 폈다.

 

이로써 특검 수사는 김건희 여사 통화내역 분석, 추가 소환 조사로 수위가 높아질 전망이다. 국회는 관련 의혹 진상규명을 둘러싸고 여야 대립이 가열되고 있으며, 향후 특검의 수사 결과를 주목하는 목소리가 높다.

한채린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김건희#민중기특별검사팀#학폭무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