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의약품 관세 최대 250%”…트럼프 압박에 K-바이오 비상
IT/바이오

“의약품 관세 최대 250%”…트럼프 압박에 K-바이오 비상

문수빈 기자
입력

미국이 해외에서 들여오는 의약품에 대해 최대 250% 관세를 부과할 수 있다는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발언이 나오면서 국내 제약·바이오 업계가 긴장 상태에 돌입했다. 글로벌 제약 공급망의 재편 가능성, 미국 내 생산기지 구축 압박 등 산업 구조 전환의 신호탄으로 해석된다. 업계는 이번 조치를 ‘글로벌 의약품 공급망 리셋’의 분수령으로 보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5일(현지시간) “의약품에 대해 처음에는 낮은 관세를, 1~1.5년 후에는 150%에서 최대 250%까지 올리겠다”며 고율 품목별 관세 방침을 예고했다. 구체적 품목·관세율은 내주 공개될 예정이다. 미국은 이미 유럽연합과 15% 의약품 관세에 합의한 바 있으며, 한국은 ‘최혜국 대우’를 조건으로 비슷한 수준의 접근을 확보했다.

한국바이오협회는 “이번 발표로 당장 15% 관세가 부과될 가능성이 있는 데다, 트럼프 대통령이 최대 200~250%까지 시사하면서 투자·생산 전략 검토가 불가피해졌다”고 밝혔다. 또, 실제 관세 적용 시범안에 따라 국가별 차등·특정 품목(제네릭 제외) 선택적 적용 가능성을 점쳤다. 무역확장법 232조에 근거한 국가안보 조사 결과가 최종적 기준이 될 전망이다.

 

의약품 관세 압박이 본격화되면 그간 한미 FTA와 각종 무역협정에 의존해온 의약품 수출 구조는 크게 흔들릴 것으로 분석된다. 미국으로의 생산 이전 요구(1~1.5년 유예)와 함께 위탁개발생산(CDMO)·바이오시밀러·완제품 전체에 적용 여부가 불확실해, 현지법인 인수 등 선제적 의사결정이 요구된다.

 

특히 셀트리온은 국내 제약바이오 기업 중 처음으로 미국 현지 생산시설 인수를 결정, 내년 4분기 현지 생산 개시를 목표로 속도를 내고 있다. 삼성바이오에피스 등 주요 기업들도 정책 변동 상황을 예의주시하며, 미국 내 투자를 놓고 신중하게 접근하는 모양새다. 현재까지 삼성바이오에피스는 미국 내 공장 인수 논의가 없는 것으로 알려졌다.

 

글로벌 비교에서는 유럽연합(EU) 역시 미국과의 협정을 통해 의약품 관세 15% 수준에 합의했다. 다만, 트럼프의 232조 국가안보 조사와 무역확장법 적용에 따라 국가·품목별 관세율 차등 가능성이 있다. 관세 부과 품목에서 제네릭이 제외되는 사례처럼 미국의 탄력적 운영 여지도 관측된다.

 

산업계는 내주 공개될 구체적 관세안과 1~1.5년 유예기간에 따른 투자·생산전략 재편이 불가피하다고 판단 중이다. 인수·신설 등 현지 공장 구축에는 실질적으로 시간이 촉박하며, 향후 정책 또는 시장환경 변화가 빠르게 이뤄질 경우 기업 리스크도 커질 수 있다는 게 업계 시각이다. 업계 전문가는 “빠른 의사결정과 치밀한 시나리오별 대응이 요구되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정책 변화의 파급력이 산업 전체로 확산되는 가운데, 모든 의약품과 위탁생산품목의 관세 적용 대상 여부도 추가 확인이 필요하다. 트럼프 대통령의 ‘자국 내 생산’ 압박이 글로벌 제약 공급망 전환을 촉진시키는 변곡점이 될지 주목받고 있다. 산업계는 이번 관세 정책이 실제 시장에 어떤 영향을 줄지 주시하고 있다.

문수빈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트럼프#셀트리온#한국바이오협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