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청년미래적금 2026년 6월 출시”…3년 만기 2200만원 자산지원
사회

“청년미래적금 2026년 6월 출시”…3년 만기 2200만원 자산지원

신민재 기자
입력

청년의 자산 형성을 지원하는 정책 적금상품 '청년미래적금'이 2026년 6월 출시될 예정이다. 금융위원회는 지난 12일 기획재정부, 은행연합회, 서민금융진흥원 등 관계기관과 함께 청년미래적금 태스크포스(TF) 킥오프 회의를 개최하면서 사업 추진에 시동을 걸었다.

 

청년미래적금은 소득 요건을 충족한 만 19~34세 청년이 3년간 매달 최대 50만원까지 납입할 수 있다. 정부는 납입액의 6%를 기여금으로 지원하며, 6개월 이내 중소기업에 취업한 청년이 3년간 근속하면 12%로 지원 폭이 늘어난다. 만기 시 은행 이자까지 합산하면 일반형은 약 1908만원(6% 지원 기준), 우대형은 약 2016만원(12% 지원 기준)을 받을 수 있다. 연 5% 이자율을 가정할 경우, 일반형은 약 2080만원, 우대형은 최대 2200만원까지 수령 가능하다. 금융위 관계자는 “지원율이 과거 청년 자산형성 상품 중 가장 높다”고 설명했다. 상품별 이자율은 참여 은행 확정 이후 결정된다.

출처: 연합뉴스
출처: 연합뉴스

청년미래적금의 3년 만기 설정은 기존 청년도약계좌의 긴 만기에 대한 비판을 반영한 것이다. 가입 대상은 개인소득 6000만원 이하 또는 연매출 3억원 이하 소상공인이면서, 가구 중위소득 200% 이하에 해당하는 청년이다. 또 해당 상품에서 발생한 이자 소득에 대해 비과세 혜택도 추진된다. 이미 청년도약계좌에 가입한 경우, 전환 방안도 별도 마련될 예정이다.

 

정책 추진 과정에서 청년미래적금 TF는 고용노동부, 중소벤처기업부 등 관계기관과 협력해 중소기업 신규 재직자, 소상공인의 가입 요건과 절차를 논의 중이다. 올해 안에 국회 예산 심의 및 세법 개정을 통해 재원 규모와 세제 혜택을 확정하고, 세부 구조 설계와 전산 시스템 구축, 참여 은행 모집을 거쳐 상품 출시를 목표로 하고 있다.

 

김진홍 금융위원회 금융소비자국장은 “TF 회의를 월 1회 정례화해 상품구조 보완, 지원체계 설계, 제도 안정성 확보 등을 지속 논의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해당 사업이 청년층 자산 격차 해소에 실질적 대안이 될 수 있을지 사회적 관심이 쏠리고 있다.

신민재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청년미래적금#금융위원회#자산형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