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미래적금 2026년 6월 출시”…3년 만기 2200만원 자산지원
청년의 자산 형성을 지원하는 정책 적금상품 '청년미래적금'이 2026년 6월 출시될 예정이다. 금융위원회는 지난 12일 기획재정부, 은행연합회, 서민금융진흥원 등 관계기관과 함께 청년미래적금 태스크포스(TF) 킥오프 회의를 개최하면서 사업 추진에 시동을 걸었다.
청년미래적금은 소득 요건을 충족한 만 19~34세 청년이 3년간 매달 최대 50만원까지 납입할 수 있다. 정부는 납입액의 6%를 기여금으로 지원하며, 6개월 이내 중소기업에 취업한 청년이 3년간 근속하면 12%로 지원 폭이 늘어난다. 만기 시 은행 이자까지 합산하면 일반형은 약 1908만원(6% 지원 기준), 우대형은 약 2016만원(12% 지원 기준)을 받을 수 있다. 연 5% 이자율을 가정할 경우, 일반형은 약 2080만원, 우대형은 최대 2200만원까지 수령 가능하다. 금융위 관계자는 “지원율이 과거 청년 자산형성 상품 중 가장 높다”고 설명했다. 상품별 이자율은 참여 은행 확정 이후 결정된다.

청년미래적금의 3년 만기 설정은 기존 청년도약계좌의 긴 만기에 대한 비판을 반영한 것이다. 가입 대상은 개인소득 6000만원 이하 또는 연매출 3억원 이하 소상공인이면서, 가구 중위소득 200% 이하에 해당하는 청년이다. 또 해당 상품에서 발생한 이자 소득에 대해 비과세 혜택도 추진된다. 이미 청년도약계좌에 가입한 경우, 전환 방안도 별도 마련될 예정이다.
정책 추진 과정에서 청년미래적금 TF는 고용노동부, 중소벤처기업부 등 관계기관과 협력해 중소기업 신규 재직자, 소상공인의 가입 요건과 절차를 논의 중이다. 올해 안에 국회 예산 심의 및 세법 개정을 통해 재원 규모와 세제 혜택을 확정하고, 세부 구조 설계와 전산 시스템 구축, 참여 은행 모집을 거쳐 상품 출시를 목표로 하고 있다.
김진홍 금융위원회 금융소비자국장은 “TF 회의를 월 1회 정례화해 상품구조 보완, 지원체계 설계, 제도 안정성 확보 등을 지속 논의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해당 사업이 청년층 자산 격차 해소에 실질적 대안이 될 수 있을지 사회적 관심이 쏠리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