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VLS-II 개발 5년 만에 완수”…한화에어로스페이스, K-방산 민간주도 혁신 성과
한국형 수직발사체계(KVLS-II) 개발이 5년 만에 성공적으로 마무리되며, 국내 방위산업의 핵심 기술 토대가 한층 강화되고 있다. 26일 한화에어로스페이스는 경남 창원시 창원2사업장에서 체계개발 종결식을 열고 ‘민간 주관’ 체제에서 사업을 계획대로 마침에 따라 K-방산 경쟁력 강화에 의미를 더했다고 밝혔다. 업계와 군 당국은 이번 성과가 향후 국내 방위산업의 수출 확대와 첨단 기술 내재화에 기여할 것으로 보고 있다.
KVLS-II는 다양한 미사일을 단일 셀에서 운용하는 ‘Any Cell, Any Missile’ 개념이 적용된 첫 사례다. 한화에어로스페이스와 정부, 국방과학연구소 등 관계 기관이 민관 협력 ‘원팀’ 체제로 참여한 가운데, 셀 이중화 설계를 구현함으로써 일부 고장 상황에서도 안정적인 작전 수행이 가능하다는 점이 강조됐다. 방사청은 이번 사업에서 기존의 정부 주관 개발 방식을 민간 주도로 전환해 위험요소 사전 차단, 품질 대응 인력 배치 등으로 개발기간 연장이나 비용 증가 없이 계획을 준수했다고 설명했다.

이번에 개발된 KVLS-II는 올해 말 전력화되는 이지스 구축함 정조대왕함에 우선 탑재되며, 향후 건조될 한국형 차기구축함 KDDX에도 적용이 예정됐다. 방위사업청 및 해군, 관련 연구기관들은 “민간이 주도한 개발사업의 성공 사례로 남았다”고 평했다. 김동현 한화에어로스페이스 LS사업부장은 “정부기관과의 유기적 협력 덕분에 민간 주관 첫 개발사업을 완수할 수 있었다”며 “자주국방 실현을 위한 지속적인 연구개발 역량 강화에 주력하겠다”고 말했다.
정부는 방산 정책과 국방기술 혁신 기조에 맞춰 민관협력 강화 방안을 모색 중이다. 업계 일각에서는 “국내 방산 수출 경쟁력 강화와 선진 플랫폼 내재화의 분수령이 될 것”이라는 분석이 제기됐다. 이번 사업 완수는 방위산업 선진국과의 기술 격차를 좁히는 한편, 과거 정부주도 방식 대비 비용·기간 효율화라는 새로운 모델을 제시한 사례로 받아들여진다.
향후 K-방산 기술 경쟁은 민간의 역할 확대와 정책적 뒷받침의 조화를 통해 가속화될 전망이다. 시장에서는 내년 이후 KDDX 등 차기 구축함 건조 및 무기체계 수출 정책에 속도가 붙을지 주목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