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시혁, 광범위 영장 압박 속 압수수색 종료”…하이브 의혹과 수사 전환점→긴장 고조
차가운 긴장과 복잡한 시선 속에 하이브 방시혁 의장에 대한 사기적 부정거래 의혹이 수사의 중심에 떠올랐다. JTBC 보도에 따르면, 경찰은 하이브 본사에 대해 압수수색 기간이 약 한 달에 달하는 영장을 발부받아, 일출 전과 일몰 후에도 집행이 가능한 파격적인 예외조항까지 포함한 고강도 수사를 진행했다. 압수수색의 범위는 의장실, 비서실, 재무, 회계, 법무 등 회사의 핵심 부서뿐 아니라, 압수할 물건이 보관될 가능성이 있는 명칭 불명의 모든 부서로 적시돼 그 폭이 전례 없이 넓게 설정됐다.
이번 수사는 방시혁 의장이 하이브 상장 전 투자자들에게 기업공개 계획이 없다고 고지한 뒤, 지인이 설립한 사모펀드에 지분을 넘기는 과정에서 부정거래 혐의가 제기된 데서 시작됐다. 방시혁 의장은 이 PEF와 지분 매각 차익의 30%를 공유하기로 계약하고, 4000억 원에 이르는 이익을 정산받은 사실이 드러나며 논란이 확산됐다. 무엇보다 방시혁 의장이 사업보고서에 이 중요한 계약을 기재하지 않은 정황까지 더해지면서, 시장은 그에게 제기된 혐의에 무거운 시선을 보내고 있다.

법률적으로 사기적 부정거래 행위는 고의적으로 투자자를 기만하거나 시장을 왜곡하는 모든 거래를 의미한다. 이로 인해 취득한 이익 및 회피한 손실이 50억 원을 상회할 경우 5년 이상의 중형이나 무기징역, 그리고 부당이익의 3~5배에 해당하는 벌금까지 내려질 수 있다. 때문에 4000억 원대 이익이 실제 입증될 경우, 방시혁 의장이 감내해야 할 법적 리스크에 이목이 쏠리고 있다.
이번 사건은 경찰과 검찰이 동시에 금융감독원 특별사법경찰관을 동원해 수사에 나선 희귀한 사례로, 압수수색을 계기로 수사 주도권 경쟁까지 촉발된 상황이다. 경찰이 고강도의 압수수색에 나서면서 수사 행보가 더욱 빨라질 것으로 보이지만, 경찰 측은 “수색 범위가 이례적으로 넓은 것은 아니다”라며 “실질적 압수수색은 이미 종료됐다”는 입장을 밝혔다.
방시혁 의장을 둘러싼 풍경은 한순간에 얼어붙었다. 그의 혐의 사실과 하이브의 미래, 그리고 시장의 신뢰 회복 여부에 더욱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한편, 이번 압수수색의 의미와 향후 수사 방향이 엔터테인먼트 업계에 어떤 파장을 몰고올지 주목받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