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이프

“고분군을 걷다, 시간을 만나다”…아라가야문화제에서 일상과 역사의 경계가 흐려지는 순간

윤가은 기자
입력

요즘 사람들은 일상의 공백을 역사에서 찾고 있다. 축제장은 더 이상 잠깐 머무는 공간이 아니라, 과거와 현재가 어우러지는 삶의 장이 돼간다. ‘아라가야문화제’가 열리는 경남 함안에서는 가족과 친구, 청년들까지 고분군을 배경 삼아 시간을 걷듯 경험을 쌓는다.

 

함안의 가야읍 고분길에서 펼쳐질 ‘아라가야문화제’는 처음 방문하는 이에게도 낯설지 않다. 바람에 실린 아라가야의 향기, 박물관과 말이산 고분군을 오가는 걸음마다 차곡차곡 시간의 결이 쌓여간다. SNS엔 고분군 포토존 인증샷이 늘어나고, 현장 곳곳에선 기마무사 체험과 왕관 만들기로 아이부터 어른까지 역사를 몸소 느끼는 풍경이 이어진다.

푸드트럭 프리마켓부터 고분군 체험까지…‘아라가야문화제’ 경남 함안에서 펼쳐진다
푸드트럭 프리마켓부터 고분군 체험까지…‘아라가야문화제’ 경남 함안에서 펼쳐진다

이런 변화는 행사 구성에서 더욱 뚜렷해진다. 식전 ‘천신제’, ‘아라대왕 행렬’이 감동적으로 시작을 알리고, 개막 퍼포먼스와 뮤지컬 갈라쇼, 국악 관현악 등 공연은 축제의 품격을 높인다. 관람객들은 고대 철기 대장간, 의상 체험, 전통 차 문화, 푸드트럭 프리마켓, 독서·트래킹까지 각자의 방법으로 시간을 거슬러 올라간다.

 

전문가들은 이런 흐름을 “지역과 세대를 잇는 문화적 연결”이라 부른다. 가족 단위 방문객뿐만 아니라 지역 청년, 예술가, 소상공인까지 축제 안에서 주체가 돼 간다는 사실에 의미를 둔다. 지난해 함안의 지역 축제 방문객 수가 꾸준히 증가했다는 통계도 이러한 변화를 뒷받침한다.

 

댓글 반응도 흥미롭다. “축제에서 우리 애가 말이산 고분군 직접 걷는 걸 보고 감동했다”, “푸드트럭 나들이 덕분에 이웃들과도 가까워졌다”, “역사 공부는 멀게만 느꼈는데 이제는 체험이 새로운 공부” 등 체험의 힘을 말하는 목소리가 넘친다. “가야의 흔적 위에 작은 일상이 꽃핀다”는 메시지도 자연스럽게 이어진다.

 

3일간 이어질 ‘아라가야문화제’는 단지 축제를 넘어, 우리가 지나치는 공간에 과거와 현재의 의미를 담아낸다. 삶은 박물관 안 전시물이 아니라, 모두의 손끝에서 다시 쓰여진다는 사실을 깨닫게 해준다. 작고 사소한 선택이지만, 우리 삶의 방향은 그 안에서 조금씩 바뀌고 있다.

윤가은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아라가야문화제#함안#말이산고분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