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미동맹 현대화 논의, 안보 청구서도 대비”…이재명 대통령, 휴가지서 외교 전략 집중
외교안보 지형이 요동치는 가운데 이재명 대통령과 미국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첫 정상회담을 앞두고 외교적 전략 구상이 본격화되고 있다. 대통령실은 7일 이재명 대통령이 경남 거제 저도에서 여름휴가를 보내는 동안에도 외교·안보 전략 수립에 집중하며 임박한 한미정상회담 준비에 몰두하고 있다고 밝혔다.
정치권과 외교가는 이번 한미정상회담이 관세 협상 후 맞이하는 또 하나의 중대한 분기점이 될 것으로 주목하고 있다. 관세 협상에서 합의된 내용의 구체적 이행방안뿐만 아니라, 트럼프 대통령이 '동맹 현대화'라는 이름 아래 요구할 것으로 관측되는 안보 분야 추가 현안이 핵심 의제로 다뤄질 것으로 전망된다.

이재명 대통령은 특히 한미동맹 현대화, 국방비 증액, 주한미군의 역할 조정 등 복합적 사안을 균형 있게 협상하기 위해 실무라인에 각종 시나리오별 대응 방안을 주문한 것으로 전해졌다. 한미 외교장관이 최근 워싱턴DC 회동에서 동맹 현대화의 필요성에 공감했다는 점도 협상 구도에 영향을 미쳤다. 대통령실 관계자는 “안보 기여 확대와 국방비 증액은 협상에서 중요한 카드가 될 수 있으며, 강한 목소리를 내기 위한 전략적 고려도 병행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다만 주한미군 전략적 유연성 확대에 대해선 사안의 복잡성과 미중 갈등, 한반도 안보 균형 등 다층적 이해관계를 고려해 신중히 접근하기로 했다. 미국 측이 주한미군의 기동성 확대와 역할 변화 등 요구를 검토 중이나, 트럼프 행정부가 공식적으로 구체적 입장을 내놓은 것은 아니라는 게 정부 내부의 진단이다. 이에 따라 대통령은 실무 협의 경과를 면밀히 분석하며 미국 요구 수용 규모와 국익 극대화 방안을 다각적으로 검토할 것으로 전망된다.
외교 무대 전열 재정비도 속도를 내고 있다. 이재명 대통령은 휴가 후 4강 대사 등 주요 외교 채널 인선을 마무리할 계획이다. 특히 주미 대사에는 임성남 전 외교부 1차관이, 주중 대사에는 이광재 전 강원지사가 유력 후보로 거론되고 있다. 주일 대사에는 하태윤 전 오사카총영사, 김현철 서울대 일본연구소장 등, 주유엔 대사 자리에는 노규덕 전 외교부 한반도평화교섭본부장이 물망에 오르고 있다.
정치권 일각에서는 한미동맹 현대화 방향과 주한미군 역할 조정 등을 두고 여야 간 이해관계가 부딪힐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주요 외교 현안에 대한 사회적 의견도 엇갈리고 있어 정부가 국민 설득과 투명한 정보 공유에 더 힘써야 한다는 분석이다.
이재명 대통령의 외교력과 협상 전략이 미국, 일본 등과의 정상회담 및 다자 외교에서 어떤 결과로 이어질지 정치권과 외교가는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정부는 한미정상회담이 끝난 뒤 양국 간 주요 합의 사항과 국내외 파장에 대해 신속히 설명하고, 향후 역내 정세 변화에 유연하게 대응할 방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