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H-1B 비자 수수료 10만달러 인상”…미국 기술기업, 인재 이동 우려와 주가 불안
국제

“H-1B 비자 수수료 10만달러 인상”…미국 기술기업, 인재 이동 우려와 주가 불안

윤선우 기자
입력

현지시각 기준 9월 19일, 미국(USA) 백악관이 H-1B 전문직 비자 수수료를 1인당 10만 달러로 대폭 인상한다고 발표하면서, 구글·마이크로소프트(MS)·아마존 등 대표적 기술기업들이 비자 소지 직원을 대상으로 미국 내 체류와 출국 자제를 긴급 요청했다. 이번 조치는 미국 내 IT 업계와 이민자 커뮤니티에 불안감을 불러일으키며, 현지 기업과 글로벌 인재 시장에 직접적인 파장을 주고 있다.

 

백악관은 새 수수료 정책이 신규 H-1B 비자 신청자에만 적용된다고 밝혔으나, 비자 심사 과정과 집행 기준 등이 아직 명확하게 제시되지 않아 현장에서는 혼란이 커지고 있다. MS는 발표 직후 “비자 소지 직원은 미국 내에 머물 것을 강력히 권고한다”며, 해외 체류 시 귀국 절차에 변동 가능성을 경고했다. 아마존은 H-1B 소지자뿐 아니라 동반가족(H-4 비자 소지자)에게도 동일하게 미국 내 체류를 권장한다고 안내했다.

美 H-1B 비자 수수료 10만달러 인상 발표에 기술기업 주가 하락 우려…MS·아마존·구글 직원 대이동 경계
美 H-1B 비자 수수료 10만달러 인상 발표에 기술기업 주가 하락 우려…MS·아마존·구글 직원 대이동 경계

실제 구글 한 직원은 가족 방문 차 도쿄 여행 일정을 전격 취소했다. 영국에서 미국 샌프란시스코로 이주를 앞둔 IT 엔지니어도 회사 이민 변호사의 조언에 따라 출국을 미루는 등 현장에서는 정책 불확실성이 인력 이동에 즉각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 H-1B 비자는 미국 내 기술기업이 해외 인재를 채용하는 가장 중요한 수단으로 꼽히는데, 올해만 아마존닷컴이 1만여 건에 가까운 비자를 할당받는 등 업계의 의존도가 높다.

 

이민 전문 변호사들은 “정책 세부지침이 나올 때까지 비자 소지 직원은 신중히 행동할 필요가 있다”고 조언한다. 뉴욕타임스와 CNBC 등 미국 매체들도 IT 업계의 비용 부담이 커져 인재 유입과 기업 경쟁력에 악영향을 줄 수 있다는 보도를 내놓고 있다.

 

증시에서는 기술주 약세와 함께 업계 전반의 불확실성 확대가 관측되고 있다. 전문가들은 H-1B 수수료 인상이 비자제도 전반의 구조적 변화로 이어질 수 있다며, 이번 조치가 미중 기술 경쟁과 글로벌 인재 쟁탈 경쟁의 장기 변동 요인이 될 수 있다고 분석한다.

 

국제사회와 업계는 트럼프 행정부의 비자 정책이 실제 어떻게 집행될지 예의주시하고 있다. 이번 규정 변경이 세계 기술인력의 이동 패턴과 미국 내 IT 산업 전망에 어떤 변화를 이끌지 귀추가 주목된다.

윤선우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미국#h-1b비자#마이크로소프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