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거리 한복판에서 맥주 한 잔”…평택의 골목, 축제의 설렘으로 물들다
라이프

“거리 한복판에서 맥주 한 잔”…평택의 골목, 축제의 설렘으로 물들다

이도윤 기자
입력

요즘 도심 골목에서 맥주잔을 기울이며 공연을 즐기는 이들이 부쩍 늘었다. 이전에는 일상 속 조금 특별한 일탈로 여겨졌던 모습이지만, 이제는 지역 축제의 한 장면이 돼 많은 이들의 일상을 물들인다. 평택 중앙로 일대에서 열린 ‘평택거리문화축제’ 현장에도 거리마다 설렘과 활기가 가득했다. 공연이 끝날 때마다 어깨를 들썩이는 관객들, 달고나게임에 몰입한 아이들, 현장 곳곳을 오가며 문화의 맛을 음미하는 사람들이 저마다의 순간을 채워갔다.

 

이런 변화는 지역 골목 풍경만 달라진 게 아니다. 축제는 평택시와 신평동 도시재생 주민협의체가 함께 만들어낸 노력의 결과로, 쇠락하던 원도심 상권에 새로운 생기를 불어넣는다. 거리 곳곳 메인 무대에서는 신선한 맥주와 다양한 먹거리가 방문객의 미각을 사로잡았고, 밴드와 댄스, DJ 무대가 연이어 오르며 축제의 열기를 더욱 끌어올렸다. ‘무궁화 꽃이 피었습니다’ ‘달고나게임’처럼 누구나 참여할 수 있는 이벤트도 줄을 이었다.

맥주와 거리공연부터 달고나게임까지…‘평택거리문화축제’ 경기도 평택에서 만난다
맥주와 거리공연부터 달고나게임까지…‘평택거리문화축제’ 경기도 평택에서 만난다

전문가들은 이런 지역 축제의 가치를 ‘문화기반 도시재생’이라고 부른다. 지역 주민과 상인, 방문객이 함께 만드는 새로운 경험이 지역의 매력과 정체성을 살려내며, 한 번의 행사에 그치지 않고 지속적으로 혁신을 유도한다는 것이다. “도시재생 사업과 축제가 결합되면, 지역의 인적·물적 자원에 활기를 불어넣는 계기가 된다”는 트렌드 분석가의 진단도 나온다.

 

댓글 반응도 흥미롭다. “지난 주말 옛 골목에서 맥주도 마시고 거리공연도 봤다”, “아이와 게임에 참여하며 평소 모르던 이웃들과도 금세 친해졌다”는 다양한 경험담이 쏟아진다. 누군가는 “축제 하나로 시내가 이렇게 북적이는 게 오랜만이다”라고 표현했다. 그러다 보니 최근에는 ‘이번 달엔 어떤 프로그램이 열릴까’ 기대하는 시민도 많아졌다.

 

이제 평택거리문화축제는 단지 하루 즐기고 끝나는 이벤트가 아니다. 누구나 자유롭게 시간을 즐길 수 있는 일상의 여유, 도시와 사람이 어우러지는 열린 장, 그리고 공동체 감각을 깨우는 문화의 무대가 되고 있다. 작고 사소한 선택이지만, 우리 삶의 방향은 그 안에서 조금씩 바뀌고 있다.

이도윤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평택거리문화축제#평택시#도시재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