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한미 관세 협상 놓고 여야 정면 충돌”…민주당 “경제 불확실성 해소”, 국민의힘 “실패·굴욕”
정치

“한미 관세 협상 놓고 여야 정면 충돌”…민주당 “경제 불확실성 해소”, 국민의힘 “실패·굴욕”

배진호 기자
입력

관세 협상을 둘러싼 여야의 정치적 충돌이 국회 기획재정위원회와 산업통상자원위원회 현안보고에서 고조됐다. 6일 기획재정부와 산업통상자원부를 상대로 한 현안보고에서 더불어민주당과 국민의힘은 한미 관세 협상 타결을 놓고 정반대 해석을 내놓으며 정면대결 양상을 드러냈다.

 

여당인 더불어민주당은 미국과의 이번 관세 협상에서 일본, 유럽연합 등 주요 경쟁국과 비교해 결코 불리하지 않은 조건을 확보했다고 강조했다. 안도걸 의원은 "정부 출범 두 달 만에 협상력을 집중해 일본이나 EU와 유사하거나 더 나은 조건을 얻었다"며 "타결을 통해 경제적 불확실성을 해소했다는 점의 의미가 크다"고 밝혔다. 김영진 의원 역시 "전 세계적 무역 구조와 관세 협상 흐름을 감안해 보면 대한민국이 평균 이상으로 대미 협상을 잘 이끌었다"고 평가했다.

조승래 의원은 "마스가(MASGA)는 공직자의 창의성이 발휘된 아이템"이라며 "협상 타결로 대기업의 예측 가능성이 높아져 적응 여력이 확충됐다"고 견해를 덧붙였다.

 

반면 국민의힘은 한미 자유무역협정(FTA)로 이미 대부분 품목의 관세가 0%였던 점을 들어 이번 협상이 오히려 후퇴했다고 맹렬히 비판했다. 이인선 의원은 "일본과 똑같이 15% 관세로 막았다며 자화자찬하지만 우리는 FTA로 관세가 0%였다"고 지적하며 "일본과 나란히 됐다는 점을 자평할 수 없다"고 반박했다. 그는 "과거 노무현·이명박 전 대통령이 FTA 관세 인하 성과를 이뤘는데, 이명박 전 대통령을 세종대왕급으로 기려야 할 판"이라며 여당을 겨냥했다.

 

윤영석 의원도 "미국과의 관계에서 한국이 패싱되는 상황 속 조급하고 굴욕적으로 협상에 임했다"며, "실패한 협상이자 굴욕적 인상을준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박성훈 의원은 한국무역보험공사가 3천500억 달러를 5년간 지원하기로 한 투자 약속의 현실성과 효과에 의문을 제기하며, "국내 투자 위축과 고용 악화의 악순환이 올 수 있다"고 우려를 나타냈다.

 

산업통상자원위원회 회의에서는 관세 협상에 관한 각 정부부처와 미국 측 공식 발표의 해석 차이가 또 다른 쟁점으로 부각됐다. 강승규 의원은 농산물 시장 추가 개방을 두고 "대통령실과 백악관, 산업부 발표가 제각각이다. 국민은 무엇을 믿어야 하냐"고 질의했으며, 정동만 의원 역시 "자동차 관세가 업계 우려치인 25%가 아닌 15%라지만, 기존엔 0%였다. 정부 셈법이 납득가지 않는다"고 비판했다.

 

관세 협상 결과에 대한 정치권 논쟁은 내년 총선을 앞두고 경제, 외교 분야 정쟁 확산과 정책 신뢰도에 영향을 줄 전망이다. 국회는 추가 현안보고를 이어가며 관세 협상 과정과 후속 대책에 대한 공방을 이어갈 계획이다.

배진호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더불어민주당#국민의힘#한미관세협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