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정시스템 장애 현실화”…과기정통부, 화재에 위기대응 강화
국가정보자원관리원에서 발생한 화재로 인해 핵심 행정시스템이 중단되면서 정부 행정기반 안정성에 경고등이 켜졌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27일, 장애 확산에 대응하기 위해 위기경보 ‘경계’ 단계로 상향 조정하고 비상체제에 돌입했다. 일선 부처 홈페이지, 내부 전자결재 등 다수 공공 인프라가 멈춘 상황으로, 디지털 정부 운영의 취약점이 복합적으로 드러났다는 평가다.
ICT 인프라 관리의 관건은 데이터센터 이중화, 재난 대비 가동체계 구축이다. 이번 화재로 과기정통부와 산하기관 시스템, 인터넷 우체국 서비스 등 주요 플랫폼이 동시 장애를 겪으며 분산처리·백업체계 한계가 노출됐다. 관계자는 “사고 지점의 설비 일부에는 자동화 재해복구 시스템이 적용됐으나, 대규모 관리 단지에서는 장애 복원 우선순위·내부망 분산도가 주요 변수로 작용한다”고 해설했다.
행정안전부·과기정통부는 즉각 ‘위기상황대응본부’를 설치하고 신속 복구와 추가 피해 방지에 힘을 모으고 있다. 국가정보자원관리원은 국내 디지털 정부의 중추로, 연간 4000여 행정기관 데이터와 서비스가 연계되는 국가 단일 거점이다. 이중화 설비, 보안·안전 통제가 핵심이지만, 이번처럼 대형 화재형 물리적 사고에는 복구 ‘골든타임’ 확보가 관건이란 지적이 나온다.
미국·유럽 주요국은 국가 행정 데이터센터에 물리이중화·지리적 분산을 의무화하고, 민간 클라우드와 연동하는 형태로 재난복원력을 강화중이다. 비교해 국내는 사고 발생 시 수동 복구 의존도가 여전히 높아, 데이터 복원 자동화 수준·신속성에서 과제도 남았다.
전문가들은 “데이터센터 보안과 운영 안정성 확보가 곧 디지털정부 신뢰의 핵심”이라며 “행정망을 비롯한 국가 IT기반의 장애 대응 강화가 제도적 보완 과제로 부각된다”고 분석했다.
산업계와 정부는 장애 원인 파악과 대책 마련에 집중하고 있으며, 국민 실생활에 영향을 끼치는 플랫폼 복구가 최우선 과제로 떠오르고 있다. 디지털 행정의 기반을 다시 짚는 계기가 될 것으로 보인다.
산업계는 이번 사고가 신속히 복구되고, 디지털 행정 인프라 전반의 안정성 강화로 이어질지 주의 깊게 지켜보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