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문에 10만 결집” 국민의힘, 서울 장외집회·필리버스터로 정부조직법 저지 총력
정부조직법 처리를 둘러싼 입법 충돌이 극으로 치닫고 있다. 국민의힘이 28일 서울시청 인근 대한문에서 대규모 장외집회와 함께 4박5일간의 필리버스터(무제한 토론)로 민주당의 정부조직법 강행 처리를 저지하겠다고 나선 것이다. 여당의 사법부 비판 공세에도 집권당이 장외와 원내를 동시에 압박하며 격한 정국이 예고된 셈이다.
국민의힘은 이날 오후 2시 ‘사법파괴 입법독재 국민 규탄대회’를 서울 대한문 일대에서 개최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지난 2020년 자유한국당 시절 이후 약 5년 8개월 만에 서울 도심 장외집회를 여는 것이다. 당은 이번 집회에 최대 10만명 규모의 참여를 기대하며, 직전 대구 집회(추산 7만명)보다 훨씬 큰 규모로 여론 결집에 나서고 있다.

집회에 맞춰 국민의힘은 전날부터 시작한 필리버스터도 이어간다. 정부조직법과 이진숙 방송통신위원장 해임, 검찰 해체 논란 등 현안 법안 표결을 막겠다는 취지다. 필리버스터는 29일까지 계속되며, 당은 비쟁점 법안을 포함한 전면적 의사진행 저지를 통해 정부·여당의 입법 강행을 국민들에게 알릴 방침이다.
당내에서는 필리버스터 범위를 둘러싼 전략 논의가 치열하게 진행되고 있다. 신동욱 최고위원은 SBS라디오에서 “비쟁점 법안 69개에 대해서도 모두 필리버스터를 계속할 것”이라며 “잘못된 입법 시도를 국민에게 어떻게든 알리겠다는 절박감이 크다”고 전했다. 최은석 원내수석대변인 역시 “비쟁점 법안에 대해서도 전체적으로 필리버스터를 실시하는 데에 의원들 공감대가 있다”며, 최종 결정은 원내대표가 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민주당 등 야권은 국민의힘의 이 같은 필리버스터와 장외투쟁이 의회 민주주의 원칙을 훼손한다며 반발하고 있다. 여야의 맞불 속에 정치권은 대치가 더욱 격화되는 모양새다. 국민의힘은 소수 야당의 불리한 의석 구조 속에서 “24시간 표결 지연”에 그치지 않는, 실질적 무한 필리버스터의 효과로 제1야당에게 압박을 가하겠다는 전략을 세웠다. 그러나 법안 처리를 둘러싼 본회의 일정뿐 아니라 향후 국정감사, 예산국회 등 정기국회 운영에도 변수로 작용할 수 있다는 우려도 내부에서 제기된다.
권영진 의원은 KBS라디오에서 “야당이 장외투쟁에 나설 수밖에 없지만, 무한정 지속할 수 없는 게 현실”이라며 “이번 일요일 집회를 기점으로 한동안 장외투쟁은 중단될 것”이라고 말했다. 국민의힘은 대규모 집회를 마친 뒤 원내 중심 투쟁으로 전략을 재정비할 전망이다.
이날 국회는 정부조직법 처리를 앞두고 대규모 장외집회와 필리버스터, 여야 공방이 동시에 펼쳐지는 격랑에 휩싸였다. 정치권은 사법체계와 의회 운영 방식을 둘러싼 갈등이 장기화할 가능성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