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란전담 재판부 설치 찬성 60% 넘겨”…정당 지지층 따라 여론 뚜렷한 대조
내란사건 전담재판부 설치를 둘러싼 여론의 온도 차가 지방과 세대, 정당 지지층에 따라 극명하게 갈리고 있다. 여론조사꽃이 9월 19일부터 20일까지 실시한 전국 단위 조사 결과 국민 60% 이상이 내란전담 재판부 설치에 찬성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화면접조사에서 ‘찬성’ 응답은 60.9%, ‘반대’ 응답은 33.5%로, 두 집단 간 격차가 27.4%포인트에 달했다. 특히 ‘매우 찬성한다’가 35.0%로 가장 높았고, 내란전담 재판부 필요성에 대한 국민 공감대가 일정 부분 형성됐음을 시사했다.

지방별로는 호남권(76.3%), 경인권(62.3%), 강원·제주(61.5%), 서울(61.2%) 등 대부분 권역에서 찬성이 우세했다. 반면 대구·경북은 찬성 49.2%, 반대 43.7%로 팽팽했으나 찬성이 미세하게 앞섰다. 연령별로도 40대(73.9%), 50대(67.3%), 60대(64.7%)가 높았고, 18∼29세(50.4%)와 30대(59.6%) 역시 과반이 찬성했다. 성별 분포에서는 남성 57.5%, 여성 64.1%로 문화적 차이도 엿보였다.
특히 젊은 층에서 성별 격차가 확연하게 드러났다. 18∼29세 남성(51.4%)과 30대 남성(48.2%)은 반대가 우세 혹은 팽팽했던 반면, 같은 연령대 여성(18∼29세 61.7%, 30대 78.3%)은 찬성이 압도적으로 많았다. 정당 지지층 분석에서 더불어민주당 지지자는 89.0%가 찬성인 반면, 국민의힘 지지층 81.4%는 반대했다. 무당층에서는 37.0%만 찬성, 51.6%가 반대해 소극적인 반응을 보였다. 이념 성향별로도 진보층(87.9%)·중도층(60.6%)의 찬성이 도드라지고, 보수층(60.8%)에서는 반대가 높았다.
같은 기간 이뤄진 ARS조사에서는 ‘찬성’ 비율이 57.3%, ‘반대’ 36.0%로, 조사 방식에 따라 수치 차가 있었다. ‘매우 찬성’ 의견이 48.6%로 나타나 강한 의지를 드러냈다. 권역별로 모든 지역에서 찬성이 우세했으며, 연령대별로 40대 이상은 일관되게 과반이 찬성했다. 다만 18∼29세의 경우 반대가 오차범위 내에서 다소 높았고, 30대는 팽팽하게 분포됐다. 특히 18∼29세 남성에서는 반대가 66.3%로 집계돼 또렷한 이탈을 보였다. 정당별로 더불어민주당 지지층 88.5%가 찬성을, 국민의힘 지지층 86.3%가 반대를 보여 전통적 양당 구조에서 입장 차가 선명했다.
이번 조사는 여론조사꽃이 전국 만 18세 이상 남녀 1,005명(전화면접조사) 및 1,007명(ARS조사)을 대상으로 각각 진행했다. 전화면접조사는 9월 19일부터 20일까지 무선가상번호 활용으로 이뤄졌으며 응답률 11.7%, 표본오차 95% 신뢰수준에서 ±3.1%포인트를 기록했다. ARS조사는 2.2% 응답률, 같은 표본오차로 조사됐다. 두 방식 모두 성별, 연령, 권역별 비례할당 무작위 추출이 적용됐다.
정당별 입장이 확연히 엇갈리는 가운데, 내란전담 재판부 설치를 둘러싼 논란은 정치권에서 격렬한 논쟁거리로 부상했다. 국회는 관련 논의를 놓고 본격적인 공방에 나설 전망이며, 여론의 흐름에 따라 향후 법제화 움직임에도 영향이 미칠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