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지들 곁으로 돌아가고 싶다”…안학섭, 정부에 판문점 송환 요구 파장
고령 비전향장기수 안학섭 씨의 북송 요구를 두고 정부와 당국이 대응 방향을 두고 분주히 움직이고 있다. 판문점을 통한 송환을 희망하는 안씨의 절절한 바람에 여야와 시민사회, 북한의 태도까지 복잡하게 얽히며 한반도 정국의 또 다른 변수가 대두됐다.
통일부와 안학섭선생송환추진단에 따르면, 통일부 관계자들은 7월 23일 안학섭 씨가 입원해 있는 병원을 방문해 그의 건강 상태를 점검하고 송환 요구의 배경 및 구체 요청 사항을 청취했다. 안씨는 “전쟁포로로서 송환됐어야 했는데 감옥에 갇혔던 것”이라며 남겨진 삶 동안 동지들이 묻힌 북한 땅으로 돌아가고 싶다는 뜻을 거듭 밝혔다.

안학섭선생송환추진단 공동단장을 맡은 이적 민통선평화교회 목사는 2일 정부서울청사 앞 집회에서 “정부 측이 25년 전 송환을 함께하지 않고 왜 지금 송환을 원하느냐고 물었다. 우리가 새 정부에 협조를 요청하자 통일부 관계자들도 긍정적으로 답했다”고 전했다. 통일부는 최근에도 안씨 측과 통화를 유지하며 건강 및 의사를 다시 확인했다.
안씨는 1953년 체포돼 국방경비법 위반(이적죄)으로 항소 끝에 42년을 복역한 뒤 1995년 출소했다. 2000년 김대중 정부의 6·15 정상회담 이후 63명이 송환됐으나, 당시 미군 철수 투쟁을 이유로 남았던 안씨는 고령과 건강 악화로 지난달 공식적으로 송환 민원을 제출했다. 송환추진단은 지난달 18일 기자회견에서 “제네바협약에 근거해 판문점을 통한 송환이 이뤄져야 한다”고 촉구했고, 안씨 역시 2일 집회에서 “이제는 동지들이 있는 곳으로 가고 싶다”고 거듭 호소했다.
특히 안씨는 제3국 경유 방안이 아닌 판문점 직접 송환을 원한다는 의지가 뚜렷하다. 그러나 최근 북한은 판문점을 통한 송환 제안에 별다른 응답을 하지 않고 있다. 정부의 송환 추진에도 북측 태도가 불확실하다는 점이 현실적 장벽으로 작용하고 있다.
이적 목사는 “남북 대화의 밑거름이 되길 바란다”며 “북한의 답변을 기다리며 계속 호응을 촉구할 것”이라고 밝혔다. 통일부 역시 “현재는 실무 검토 수준이며 장관 보고 및 정책 결정 단계는 아니다”고 선을 그었다.
안씨의 송환 문제가 남북관계의 새로운 시험대로 떠오르면서, 정치권과 시민단체의 입장 차이, 국제협약 준수 논란, 북측의 호응 여부 등이 향후 정국의 또 다른 쟁점으로 부각될 가능성이 제기된다. 정부는 당분간 실무 검토를 지속하면서 북한의 입장 변화를 주시하겠다는 입장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