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AI 경쟁 심화 속 전략 다각화”…마이크로소프트, 앤스로픽 파트너십 확대에 업계 주목

신도현 기자
입력

현지시각 24일, 미국(USA) 레드먼드에서 마이크로소프트(MS)가 생성형 인공지능(AI) 전략의 다각화를 공식 발표했다. MS는 자사의 생산성 솔루션인 ‘MS 365’ 코파일럿 어시스턴트에 앤스로픽(Anthropic)의 ‘클로드’ AI 모델을 일부 기능에 본격적으로 적용하며, AI 플랫폼 내 파트너십 확장을 본격화했다. 이 같은 조치는 생성형 AI 시장 패권 경쟁이 첨예하게 전개되는 가운데 글로벌 테크 기업들이 생태계 확장 전략을 주도적으로 추진하는 흐름의 일환으로 평가된다.

 

MS는 이날부터 리서치(Researcher) 기능 등 일부 질의응답 영역에 앤스로픽의 ‘클로드 오푸스4.1’ 모델을 채택했다고 밝혔다. 조기 AI 기능을 테스트하는 ‘프론티어’(Frontier) 프로그램 참여자와 기업 고객들은 오픈AI(OpenAI)의 GPT 모델에 더해 클로드 AI도 선택할 수 있게 됐다. 자체 에이전트 제작이 필요한 기업 고객 대상 코파일럿 스튜디오에서는 ‘클로드 소네트4’와 ‘클로드 오푸스4.1’도 활용 범위가 넓어졌다.

MS, 앤스로픽 AI 모델 도입 확대…MS 365 코파일럿에 ‘클로드’ 탑재
MS, 앤스로픽 AI 모델 도입 확대…MS 365 코파일럿에 ‘클로드’ 탑재

이전까지 MS는 오픈AI와의 긴밀한 협력을 기반으로 대부분의 AI 서비스에 GPT 모델을 적용해왔으나, 최근에는 앤스로픽, 구글(Google) 등 경쟁사 모델도 깃허브 코파일럿 챗 등에 도입하며 파트너 포트폴리오의 저변을 넓히고 있다. 찰스 라만나 MS 비즈니스 및 산업 코파일럿 부문 사장은 “앤스로픽 모델이 ‘MS 365 코파일럿’ 사용자 경험을 한층 강화할 것”이라고 언급하며, 다중 AI 엔진을 통한 서비스 고도화를 예고했다.

 

MS와 오픈AI는 약 130억 달러 규모의 전략적 투자 및 협력관계를 바탕으로 오픈AI 모델이 MS의 애저(Azure) 클라우드 플랫폼에서 가동되는 구조다. 그러나 최근 양사는 AI 시장 주도권과 새 파트너십 조건을 두고 재협상을 이어가고 있는 상황이다.

 

생성형 AI 유니버스 내 경쟁 또한 갈수록 치열해지고 있다. 오픈AI는 미국 오라클(Oracle)과 3천억 달러 협력 계획을 공식화했고, 반도체 기업 브로드컴(Broadcom)과는 100억 달러 계약을 체결했다. 이밖에 소프트뱅크, 엔비디아(NVIDIA) 등 굴지의 투자사 및 반도체 업체들이 잇따라 수천억 달러대 투자를 발표하면서, 기술 패권 및 증시 양쪽에서 AI 대전을 예고했다.

 

뉴욕타임스는 “MS의 전략 다변화가 생성형 AI에서 독점 구도를 벗어나려는 신호”라고 평가했고, 파이낸셜타임스 또한 “MS가 차세대 업무 자동화 시장에서 경쟁사와의 기술·투자 다각화에 본격 나서는 국면”이라고 진단했다.

 

전문가들은 단일 AI 모델 의존에서 벗어나 다양한 생성형 AI 엔진 도입이 글로벌 기업의 경쟁력 관건으로 부상했다고 진단한다. 생성형 AI 인프라 확장과 기술 투자 경쟁이 커지는 가운데, 투자자들은 관련 기업들의 파트너십 변화 및 AI 정책을 면밀히 주시해야 할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이번 조치가 향후 AI 시장 판도와 데이터 주권, 기술 표준화에 어떤 변화를 불러올지 글로벌 IT 및 투자업계의 이목이 집중된다.

신도현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마이크로소프트#앤스로픽#오픈a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