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北선박, 오성홍기 내걸고 서해 NLL 침범”…합참, 경고사격에 1시간 만에 퇴거

정재원 기자
입력

북한 상선의 서해 NLL 침범이 또다시 발생했다. 26일 새벽 백령도 서북방 해상에서 북한 상선이 오성홍기를 내걸고 중국 선박인 척 위장한 채 북방한계선(NLL)을 넘어온 사실이 드러나면서, 군 작전 현장과 정치권이 동시에 격랑에 휩싸였다.

 

합동참모본부는 이날 오전 5시 6분께 북한 상선 덕성호가 백령도 서북방 약 50㎞ 해상에서 NLL 남쪽 5㎞ 지점까지 침범했다고 밝혔다. 군 당국은 사전에 덕성호의 접근을 포착해 감시를 강화했고, 반복된 경고통신에도 불구하고 선박이 NLL을 넘어서자 경계 임무를 수행 중이던 대구급 호위함 천안함이 기관총과 함포로 7차례, 모두 60여 발의 경고사격에 나섰다.

합참은 "덕성호가 NLL 이남으로 내려온 상태에서 선박의 식별장치(AIS)로 국적을 북한에서 중국으로 임의 변경했다"며, 위장 정황을 구체적으로 밝혔다. 아울러, 군함이 근접했을 때 덕성호가 오성홍기를 내건 사실도 확인됐다. 합참 관계자는 "중국 어선을 피해 항로를 변경하다가 NLL을 넘었을 가능성도 배제하지 않고 있다"고 말했다. 이날 덕성호는 경고사격 1시간 만인 오전 6시께 서쪽으로 퇴거했다.

 

정치권과 군 안팎에서는 덕성호의 의도가 실수인지, 의도적 위장 시도인지 두고 엇갈린 시각이 제기된다. 합참은 덕성호가 고의로 침범했을 가능성은 낮게 보고 있지만, 우리 군과의 대치 국면에서 중국 선박을 가장하려고 시도한 점에 대해 우려를 표했다. 해당 해역은 국제법상 공해에 해당해 중국 선박 통행은 가능하다.

 

이와 관련해 추가 무력 동향은 탐지되지 않은 상황이다. 합참은 "북한군의 특이동향은 현재까지 식별되지 않는다"고 전했다. 앞서 2022년 10월에도 북한 상선 무포호가 NLL을 침범한 바 있어, 서해 연근해 긴장이 반복되는 양상이다.

 

국방부는 "우리 군은 북한 동향을 면밀히 감시하면서 작전수행 절차에 맞춰 대응했다"며 "대비태세를 확립한 가운데 어떠한 상황에도 단호히 대처할 방침"이라고 강조했다.

 

향후 군 당국은 NLL 인근 해상 경계 및 감시를 한층 강화할 예정이다. 정치권은 이번 사건을 계기로 해상 안보태세와 북측 해상 도발의 대응 체계, 한중 관계 변수까지 재점검할 것으로 보인다.

정재원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합동참모본부#덕성호#nll침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