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 문제 언급 없어”…정의기억연대, 한일 정상회담 결과에 유감 표명
정의기억연대와 일본군 위안부 문제를 둘러싸고 정부와 시민사회가 다시 심각한 갈등 국면에 접어들었다. 전날 일본 도쿄에서 열린 한일 정상회담에서 역사 문제에 대한 언급이 빠지자, 정의기억연대가 8월 24일 공식 입장문을 통해 강하게 반발했다. 정상회담 결과를 둘러싼 논란은 앞으로 한일 외교 관계뿐 아니라 국내 여론에도 파장을 예고하고 있다.
정의연은 이날 “양국 정상이 셔틀 외교 복원 및 협의체 출범 등에는 합의했으나, 정작 한일 간 가장 핵심적인 쟁점인 역사 문제와 일본군 위안부 인권침해 문제에 대한 언급이 없었다”고 비판했다. 이어 “대한민국 정부는 가해자의 책임 인정과 구체적인 실천 방안을 당당히 요구하면서 한일관계의 ‘대전환’을 모색했어야 했다”고 지적했다.

정의연은 일본 정부를 향해 위안부 피해자에 대한 책임 인정과 사죄, 배상 요구를 거듭 촉구했다. 단체는 “역사 정의 회복에 진정성이 있다면, 피해자 목소리와 국제적 인권 기준에 부합하는 조치를 반드시 요구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한편, 한일 정상회담에 대한 정치권 반응도 엇갈렸다. 일부에서는 셔틀 외교 복원이 미래지향적 관계 개선에 기여할 것으로 평가하지만, 시민단체와 야권 인사들은 “역사 문제를 외면한 근시안적 외교”라고 강하게 반발하고 있다. 전문가들은 “역사 문제 외면은 향후 한일관계에 악재로 작용할 수 있다”는 분석을 내놓기도 했다.
셧틀 외교와 협의체 신설 등 실무적 성과에도 불구하고, 역사 청산 문제를 둘러싼 갈등은 당분간 이어질 전망이다. 외교 현안의 균형 있는 해법 마련이 쉽지 않다는 점에서, 정부의 후속 대응에 국내외의 시선이 집중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