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락채널·대화 우선 복구”…정동영 통일부 장관, 남북관계 정상화 의지 천명
남북 간 단절이 장기화되는 가운데 정동영 신임 통일부 장관이 대화 채널 복구와 관계 정상화에 방점을 찍었다. 정치권과 국민적 관심이 집중된 상황에서 정 장관은 남북 연락채널과 대화 재개를 최우선 과제로 제시하며 실질적 변화를 시사했다.
정동영 통일부 장관은 7월 25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취임식에 앞서 가진 취재진과의 만남에서 “하루빨리 (남북) 연락채널을 복구하고 대화를 복원하는 것이 제가 해야 할 일”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남북 간 대화가 중단된 지 6년, 너무 긴 세월”이라며 “판문점에서 직접 단절된 직통전화 상황을 점검했다”고 덧붙였다.

정 장관은 남북 정상간 대화 재개의 근거로 “당장은 촉박하다”면서도 “우선 대화부터 시동하는 것이 급선무”라고 답했다. 오는 10월 경주에서 열리는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 정상회의가 북미 정상 접촉 계기가 될 것이라는 전망에 대해서도 “우선순위는 대화 복원”이라고 선을 그었다.
통일부 명칭 변경 이슈와 관련해서는 “무엇이든 우선순위가 있는데, 명칭 변경은 지금 우선순위가 아니다”라며 “정원 복원 등 조직 정상화가 먼저”라고 밝혔다. 그는 인사청문회 등에서 통일부의 ‘한반도부’ 개명안 여부를 언급한 바 있으나, 실제 추진은 보류된 모양새다.
조직 복원 필요성에 대해 정 장관은 “윤석열 정부에서 대폭 축소된 통일부 정원을 복원하는 것이 시급하다”며 “이미 행정안전부 장관에게 감축 전 정원 회복을 요청했다”고 전했다. 또한 북한이탈주민 정책의 이관 방침에 대해서도 “탈북민 입장에서 정부 서비스를 바라보는 시각이 중요하다”며 논의의 여지를 남겼다.
취임식에서도 정동영 장관은 실용적 연락채널 복구의 중요성을 재차 언급했다. 그는 “상호 공존을 위한 가장 현실적이고 실용적인 방안이 연락채널을 신속히 복구하는 것”이라며 “작은 소통에서 큰 대화로 이어갈 것”이라고 밝혔다. 또 북한에 “강 대 강의 시간은 끝내고, 선 대 선의 시간으로 전환하자”고 메시지를 보냈다.
정 장관은 남북 신뢰 회복 신호로 기존 대북 심리전·확성기 방송의 중단을 사례로 언급하며, “군사적 긴장 완화를 위해 노력하다 보면 결국 다시 대화가 시작될 수 있다”고 강조했다. 그는 “화해와 협력의 시대를 열어가자”며 올해 12월 26일 ‘진달래꽃’ 100년 공동행사도 제안했다.
정동영 장관은 통일부 정책 방향으로 △남북 평화공존 △평화경제와 공동성장 △국민주권 대북정책을 제시했다. 과학기술을 결합한 ‘한반도 AI 모델’ 등 미래 협력도 모색하겠다고 밝혔다. 국민주권 대북정책 추진을 위한 ‘사회적 대화기구’ 조기 출범과 국회 초당적 협력 방안 역시 제안했다.
조직 개편에 대해선 “통일부의 역할과 기능이 왜곡됐다”며 “한반도 평화, 남북관계 복원, 통일부 정상화가 시대적 과제”라고 진단했다.
정치권은 정동영 장관의 첫 메시지를 두고 향후 남북관계 전환 신호로 해석하는 분위기다. 통일부는 각계 의견을 바탕으로 대화 복원, 조직 정상화, 정책 대전환을 본격 추진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