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폭염이 부추기는 뇌졸중 위험”…여름철 건강관리 비상
IT/바이오

“폭염이 부추기는 뇌졸중 위험”…여름철 건강관리 비상

정재원 기자
입력

최근 예년보다 강해진 폭염의 영향으로, 여름철 뇌졸중 발병 위험이 겨울에 버금가게 높아지고 있다. 뇌졸중은 뇌혈관이 막혀(뇌경색) 뇌로의 혈류가 차단되거나, 혈관이 터져(뇌출혈) 뇌세포가 손상되는 질환이다. 발병 후 단시간 내 치료가 이뤄지지 않으면 심각한 후유증을 남기거나 생명을 위협할 수 있어 신속한 대응이 요구된다.

 

여름에는 기온 상승과 함께 땀 배출로 체내 수분이 부족해져 혈액 점도(끈적임)가 높아진다. 이로 인해 혈전(피떡) 생성 위험이 커지며, 혈전이 뇌혈관을 막으면 뇌경색이 일어난다. 반대로 혈관이 좁아진 상태에서 혈압이 급격히 오르면 혈관벽이 견디지 못하고 파열돼 뇌출혈이 발생할 수 있다. 또, 에어컨이 가동 중인 실내와 불볕더위 실외의 급격한 온도 변화 역시 교감신경을 자극하고 혈압을 급상승시켜 뇌졸중의 추가적 위험요인으로 지목된다.

김태경 강남나누리병원 뇌신경센터 부장은 "고온과 탈수는 뇌혈류 자율 조절력을 떨어뜨려, 뇌로 전달되는 혈액량이 급격히 줄어들 위험이 있다"고 설명했다. 고혈압, 당뇨 등 만성질환을 가진 이들은 기온 변화에 더욱 민감하므로 여름철 뇌졸중 발생률이 높은 경향을 보인다. 실제로 말이 어눌하거나 한쪽 팔·다리에 갑작스럽게 힘이 빠지는 등 뇌졸중 의심 증상이 있으면 즉시 응급실을 찾아야 하며, 치료 개시 시점이 예후를 좌우한다는 점에서 조기 인지와 대처가 무엇보다 중요하다.

 

예방을 위해선 낮 시간대 불필요한 야외활동을 줄이고, 실내에서는 온도를 25~28도로 조절하는 것이 권장된다. 수분을 충분히 보충하고 에어컨·선풍기 사용 시 직접 바람을 맞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특히 심뇌혈관질환을 앓는 환자는 평소 약물 복용과 건강관리 지침을 철저히 따르는 것이 필요하다.

 

전문가들은 올여름 같은 극심한 폭염이 반복될 경우, 뇌졸중 관리의 중요성이 더욱 커질 것으로 보고 있다. 산업계와 의료계는 뇌졸중의 조기진단·예방분야에 IT 기반 솔루션 도입 확대 논의도 이어가고 있다. 산업 구조 변화와 맞물린 뇌혈관 질환 예방·관리체계 구축 필요성이 재조명받는 배경이다. 기술과 환경 변화에 맞춘 건강관리의 중요성이 부각되는 상황에서, 생활습관 개선과 실시간 건강 모니터링 기술의 발전 여부에도 귀추가 주목된다.

정재원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김태경#뇌졸중#뇌경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