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엄 해제 주체로 진실 규명 앞장”…우원식, 내란 특검 참고인 출석 결정
비상계엄 해제 주체로서 책임을 지겠다는 우원식 국회의장과 내란 특검이 마주섰다. 국회의장이 직접 수사기관 참고인 조사에 응하면서 정치권 안팎의 긴장감이 고조되고 있다. 우 의장은 특검의 요청을 존중하고, 민주주의 회복이라는 국민적 바람을 실현하겠단 입장을 밝혔다.
8월 5일, 우원식 국회의장은 내란 특검의 참고인 조사 요청에 대해 “비상계엄으로 무장 계엄군에게 침탈당한 피해기관 대표이자, 국민의 뜻에 따라 계엄을 해제시킨 주체로서 진실을 규명하는 일에 앞장서야 한다고 판단했다”고 밝혔다. 우 의장은 입장문을 통해 “현직 국회의장의 수사기관 출석이 이례적인 것은 사실이다. 다른 장소를 이용하거나 서면 조사하자는 의견도 있었지만, 특검의 사명과 역할을 지지·존중하고 적극 협력하는 의미에서 직접 출석하기로 했다”고 설명했다.

그는 이어 “내란 특검에는 그날의 진상을 규명해 나라와 민주주의를 바로 세우라는 국민의 요구가 응축돼 있다. 모든 피의자와 참고인, 관련 재판에 의한 증인 누구나 특검의 요청에 적극 협력하는 것이 마땅하며 국회의장도 예외는 아니다”고 밝혔다. 또한 “엄정하고 신속한 실체적 진실 규명이 헌정질서의 온전한 회복이고, 국민통합의 기반이다”며 “앞으로도 민주주의를 지키는 데 최선을 다하겠다”고 강조했다.
우원식 의장은 오는 7일, 12·3 비상계엄과 관련한 내란 및 외환 사건을 수사하는 조은석 특별검사팀에 직접 출석해 참고인 자격으로 조사받을 예정이다. 이와 관련해 정치권에서는 국회의장의 직접 출석은 이례적인 일이라며, 민주주의 원칙 수호와 정치적 책임감에 대한 해석이 이어지고 있다.
특검팀 관계자는 “모든 절차는 법과 원칙에 따라 진행될 것”이라고 밝혔다. 국회의장실 역시 “특검과의 협력적 관계를 지속하기 위해 필요한 조사에는 언제든 응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정치권은 이번 국회의장의 직접 출석을 놓고 실체적 진실 규명과 민주주의 회복 의지를 높이 평가하는 분위기지만, 일부에서는 정치적 부담과 상징적 효과에 대한 평가도 엇갈리고 있다. 이에 따라 향후 국회와 특검의 협력 구도, 그리고 민주주의 복원 과정의 귀추가 주목된다.
이날 국회는 우원식 국회의장의 직접 출석 결정을 두고 민주적 책임과 진실 규명 의지에 초점을 맞춰 치열한 논의가 이어졌다. 정치권은 특검의 향후 수사 방향과 국회와의 추가 협력 가능성을 놓고 공방을 벌이는 양상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