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통의 역사 위에 평화의 약속”…이재명 대통령, 원폭 80주년 맞아 피해 동포 위로
전쟁과 핵무기의 참상이 다시 쟁점으로 떠오른 가운데, 이재명 대통령이 일본 히로시마 원자폭탄 투하 80주년을 맞아 원폭 피해를 입은 동포와 유가족에게 공식적으로 위로 메시지를 전했다. 주요 국제 분쟁 국면과 맞물려 동포 대상 지원과 평화 논의가 주목받고 있다.
이재명 대통령은 5일 오전, 원폭 피해자와 유족을 향해 “고국도 아닌 타국에서 역사의 격랑을 이중삼중으로 겪으며 고통받으셨을 원폭 피해 동포들과 유가족 여러분께 깊은 애도와 위로의 말씀을 드린다”고 밝혔다. 해당 메시지는 히로시마 원폭 투하일을 하루 앞두고 대통령SNS 계정에 ‘고통의 역사 위에 평화의 약속을 새긴다’라는 제목으로 게시됐다.

이 대통령은 “80년 전 일본에 투하된 두 개의 원자폭탄은 수많은 이들의 목숨을 순식간에 앗아갔다”며, 재일동포들의 큰 희생과 이어진 고통을 언급했다. 그는 “2017년 한국인 원자폭탄 피해자 지원 특별법이 시행되며 실질적인 지원 기반이 마련됐으나, 지나간 긴 세월을 생각하면 아직 부족한 부분이 많다”고 설명했다. 이재명 대통령은 “정부는 원폭의 상흔을 치유하기 위해 계속 노력해 나갈 것”이라고 덧붙였다.
아울러 그는 매년 한국과 일본에서 열리는 희생자 위령제에 대해 “고국을 대신해 위령비를 건립하고 위령제를 주관해 온 재일민단 여러분께 깊이 감사드린다”고도 전했다. 더불어 “전쟁으로 인한 참상이 반복되지 않도록 평화의 가치를 더욱 굳건하게 지켜나가겠다”며, 한일 양국과 동포사회에 평화 수호 의지를 밝혔다.
이번 메시지에 대해 정치권에서는 정부의 동포정책과 평화외교 방향에 대한 기대와 주문이 잇따랐다. 여야 일부 의원들은 “피해 동포에 대한 실질적 지원 방안이 더 보강돼야 한다”고 지적하며 추가 입법 필요성을 강조했다.
정부는 원폭 피해 동포 지원 확대와 함께, 평화 유지를 위한 국제 협력 방안도 지속해서 모색할 계획이다. 이날 정치권은 한일 관계, 동포 복지, 국제 평화 감수성 제고 등을 둘러싼 논의가 다시 가열될 조짐을 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