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3년 새 말라리아 환자 2.4배 급증”…윤후덕, 남북 공동방역 정부 역할 촉구

조민석 기자
입력

국내 말라리아 환자가 3년 만에 2.4배 이상 폭증하며 정치권에서 남북 공동방역 필요성이 다시 쟁점으로 떠올랐다. 최근 국회에서 여야 의원들이 서로 책임 공방을 벌이는 가운데, 더불어민주당 윤후덕 의원이 정부의 적극적 역할을 촉구하고 나섰다. 말라리아 감염의 대부분이 북한과 인접한 접경지역에서 집중적으로 발생하고 있다는 점이 핵심 쟁점으로 부상했다.

 

25일 국회 외교통일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윤후덕 의원이 질병관리청에서 받은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국내 말라리아 환자는 713명에 달했다. 이는 2021년 294명에서 2.42배 급증한 수치다. 구체적으로 보면 파주시가 147명으로 가장 많았고, 김포시 56명, 인천 서구 43명, 인천 강화군 30명 등 순이었다. 또한 경기 고양시 일산서구, 연천군, 강원 철원군 등 접경지역이 다수 포함됐으며, 현역 및 제대군인 환자도 155명(23.6%)에 이르렀다.

윤후덕 의원은 전문가들 사이에서 북한 황해도 일대에서 유입되는 말라리아 매개 모기가 원인이라는 데 무게가 실리고 있다고 강조했다. 실제 세계보건기구(WHO)가 발표한 2024 세계 말라리아 보고서에 따르면, 북한의 지난해 말라리아 환자도 3160명으로 2018년 이후 가장 많은 수준을 기록한 것으로 드러났다.

 

이에 대해 윤 의원은 “남북 모두에서 말라리아 환자가 늘고 있다”며 “말라리아 남북 공동방역은 일방적 시혜가 아니라 남북 주민 모두의 건강권과 직결되는 사업인 만큼 통일부가 적극적으로 나서 북한의 호응을 끌어내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남북 협력을 단순히 인도적 차원을 넘어 실질적인 주민 보호와 보건안보 강화를 위한 필수 정책이라고 강조했다.

 

정치권과 전문가들 사이에서는 최근 확산 추이에 근거해 향후 남북관계 변화, 군사·보건 협력체제 재정비 등이 정국 변수로 작용할 가능성도 거론된다. 감염병 관리와 접경지역 피해 최소화가 보건·안보를 포괄한 통합적 접근으로 논의될 것으로 전망된다.

 

국회와 정부는 이번 감염 증가세를 계기로 말라리아 방역에 대한 남북 협력 모델, 접경지역 의료 지원 확대 방안 등에 대한 본격 논의에 착수할 방침이다.

조민석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윤후덕#말라리아#남북공동방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