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료사회복지 협력 확대”…서울대병원, 환자중심 통합 지원 강화
의료사회복지 협력과 환자 맞춤형 복지서비스 확장이 의료산업 현장에 새로운 변화를 촉진하고 있다. 서울대병원이 다양한 진료부서와 연계한 사회복지사 협력체계를 구축해, 데이터 기반의 환자 중심 통합지원 체계를 모색하고 있다. 산업계에서는 ‘의료사회복지 융합관리 경쟁’의 분기점으로 이번 행사를 평가하고 있다.
서울대병원은 지난 25일, ‘제11회 2025년 의료사회복지 심포지엄’을 개최하고 병원 내 다양한 직역의 사회복지사 역할과 미래 협력모델을 논의했다. 의료기관에서 환자·가족 지원을 전담하는 의료사회복지사는 최근 공공보건, 임상윤리, 완화의료, 아동학대 관리 등 전문영역까지 활동범위를 넓히고 있다. 이번 심포지엄에는 약 230명이 온·오프라인으로 참석, △진료팀 연계 환자관리 △윤리지원 △성인·소아 말기환자 완화케어 △중증소아 단기돌봄 등 세부 분야별 직무 발표가 이어졌다.

의료사회복지의 데이터 기반 연계모델은 병원 내 다양한 부서 간 환자정보 공유와 맞춤형 지원 솔루션 개발로 이어진다. 예를 들어 치료이력·위기가족 발굴 등 복지 데이터의 통합 분석은 의료진, 윤리팀, 복지사, 정신건강 전문가 간 협력의 실효성을 높일 수 있다. 기존에는 부서별 서비스가 병렬적으로 작동했다면, 이제는 정보 연계와 부서 간 공동 사례관리를 통해 환자별 요구에 최적화된 복지와 임상적 지원이 가능해지고 있다. 서울대병원을 비롯한 일부 상급종합병원이 병원 정보시스템(EMR) 및 임상케어 플랫폼에 복지 연계기능을 확장하는 흐름도 이어진다.
글로벌 의료기관 중에는 미국 존스홉킨스, 영국 NHS, 일본 국립국제의료연구센터 등이 환자 데이터 기반의 다학제 복지 지원 체계를 도입해왔다. 특히 디지털 환자정보 분석을 바탕으로 복지사, 임상의, 소셜워커가 실시간 정보를 공유하는 사례가 늘고 있다.
정책적으로는 복지서비스 협력의 실효성, 개인정보 연계 및 병상 내 정보보호 기준 강화가 중요한 의제로 떠오르고 있다. 관련 법령 및 의료데이터 관리지침의 정비가 실제 융합서비스 확대의 관건이 될 전망이다.
문진수 서울대병원 공공부원장은 “사회복지 활동은 공공보건, 임상윤리, 완화의료, 아동보호 분야로 확장되고 있다”며 “의료·복지 통합지원을 통한 진료혁신이 본격화될 것”이라 내다봤다. 산업계는 이번 의료사회복지 협력 모델이 환자 맞춤형 통합지원의 새로운 표준이 될지 주목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