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콘텐츠-관광-지역경제 선순환 규제개혁 강조”…김민석 총리, ‘글로벌 관광 대국’ 추진 의지
정책 역동성이 커지는 가운데 김민석 국무총리가 관광산업과 K콘텐츠, 지역경제의 ‘선순환 구조’ 구축을 위한 대대적 규제개혁과 정책 지원을 강조했다. 9월 25일 서울 하이커그라운드에서 열린 제10차 국가관광전략회의 모두발언에서 김 총리는 “콘텐츠-관광-지역경제를 잇는 선순환 구조를 위해 규제개혁과 정책적 지원을 과감하게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국내 관광업계와 글로벌 한류의 현주소를 점검하는 자리였던 만큼, 다음 달 경주에서 열리는 APEC 정상회의와 연계한 지역관광 혁신 의지도 덧붙였다.
김 총리는 이날 공식 발언에서 “정부는 오늘 ‘입국 3천만을 넘어 글로벌 관광 대국으로, 관광혁신 3대 전략’을 발표한다”며 K콘텐츠와 전통문화를 중심으로 외국인 관광객 유치, 지역경제 활성화 및 혁신생태계 조성에 역점을 두겠다고 밝혔다. 구체적으로, 외국 관광객이 입국부터 교통·숙박·쇼핑·결제 등에서 느끼는 고질적 불편 해소를 최우선 목표로 내세웠다. 또 “전남 강진군 반값 여행 프로젝트처럼 지역의 성공 모델을 전국 범위로 확대, 벤처 스타트업이 참여할 수 있는 혁신생태계도 조성하겠다”고 강조했다.

이와 함께 김 총리는 "K컬처로 시작된 한류는 단기 유행을 넘어 세계인의 일상에서 거대한 변화를 일으키고 있다"며 “케이팝데몬헌터스에 열광한 세계 젊은이들이 실제로 낙산공원과 북촌 골목을 찾으러 한국에 온다”고 덧붙였다. 또한 최근 문화관광연구원 조사 결과에 대해 “지난해 1,600만 방한 관광객의 절반 가까이가 K콘텐츠와 전통문화의 영향 아래 한국을 방문했다”고 언급하며, 이재명 정부가 K콘텐츠 기반의 문화관광산업을 미래 핵심전략산업으로 육성할 계획임을 재확인했다.
아울러 김 총리는 다가오는 경주 APEC 정상회의를 언급하며 최근 트럼프 미국 대통령,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의 참석이 확정됐음을 강조했다. “경주 APEC은 전 세계가 주목하는 메가 이벤트”라며 “경제·외교의 장을 넘어 한국 문화와 예술 콘텐츠의 힘을 세계에 보여줄 기회”라고 말했다. 정부는 APEC 정상회의의 성공적 개최를 통해 경주 및 전국의 지역 관광 활성화에 박차를 가하겠다는 복안이다.
다만 김 총리는 구조적 문제점도 짚었다. “지방 교통망 부족, 숙박시설 열악, 바가지요금, 불친절 문제 등은 한국 관광 전체 이미지를 훼손하는 요인”이라고 지적했다. 더불어 “특정 문화와 종교, 국가에 대한 혐오나 과격 시위는 반드시 근절돼야 한다”며 국민 모두의 성숙한 시민의식 실천을 당부했다.
관광 산업을 미래 전략산업으로 육성한다는 정부 기조 속에, 다음 달 경주에서 열릴 APEC 정상회의와 연계한 정책 드라이브가 주요 변수로 부상했다. 정부는 지역 관광 혁신과 K콘텐츠 활성화 정책에 한층 박차를 가할 방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