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청렴 체감도 최초 30만명 조사”…국민권익위원회, 공공기관 청렴도 평가 돌입
정치

“청렴 체감도 최초 30만명 조사”…국민권익위원회, 공공기관 청렴도 평가 돌입

신도현 기자
입력

공공기관 청렴도 평가를 둘러싸고 국민권익위원회와 각급 기관들이 긴장감을 높이고 있다. 국민의 인식부터 기관 내부 사정까지 평가가 전방위로 이뤄질 예정인 가운데, 올해 청렴도 등급이 공공부문 신뢰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칠지 관심이 쏠린다.

 

국민권익위원회는 8월부터 11월 초까지 2025년 공공기관 종합청렴도 평가를 위한 청렴체감도 설문조사를 실시한다고 5일 밝혔다. 올해 평가는 청렴체감도 60%, 청렴노력도 40%, 그리고 부패실태평가(감점)를 더하는 3개 영역에 걸쳐 진행된다.

설문조사는 공공기관 내·외부 업무에 참여하거나 경험이 있는 약 30만명을 대상으로 전화, 문자메시지, 카카오톡 등 다양한 방식으로 이뤄진다. 조사 결과는 향후 각 기관의 평가 등급 산정의 주요 자료로 쓰인다.

 

국민권익위원회는 "국민과 공공기관 소속 공직자를 대상으로 폭넓고 심도 있게 실태를 파악하겠다"고 설명했다. 이어 "조사 신뢰도를 높이기 위해 조사 방식과 표본 설계에 만전을 기했다"고 강조했다.

 

공공기관 청렴도 평가는 매년 정기적으로 진행된다. 그러나 올해는 조사 대상 규모가 약 30만명에 이르러 예년보다 한층 더 엄격한 수준에서 평가가 진행될 것이란 분석이 나온다. 평가 지표인 청렴체감도와 청렴노력도는 각각 기관 이용자와 내부 공직자의 직접적인 경험에 기반해 산출된다.

 

각 기관은 청렴도 평가지표를 꾸준히 주시하며 자체 진단을 예고했다. 한편, 권익위는 "설문조사 결과를 반영해 오는 12월 최종 등급을 발표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정치권과 시민단체에서는 공공기관 청렴도 평가의 실효성 여부를 두고 이견을 보이기도 했다. 그러나 일각에서는 청렴도 조사 확대가 투명성 강화의 계기가 될 것이라는 기대감도 감지된다.

 

이보다 앞서 국민권익위원회는 매년 청렴도 평가 결과를 기관별로 공표하며 개선책을 제안해 왔다. 올해 청렴도 결과가 각 기관은 물론 정치권 전체에 어떤 파장을 불러올지 주목된다. 권익위는 앞으로도 청렴도 제고를 위한 지속적인 정책 보완을 검토할 예정이다.

신도현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국민권익위원회#공공기관#청렴도평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