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미 2+2 회의 연기 후폭풍”…강훈식 대통령 비서실장, 대책회의서 통상 전략 점검
한미 경제·무역 분야 2+2 장관급 회의가 갑작스럽게 연기되며 대통령실과 미국 행정부 간 통상 협상에 대한 긴장감이 높아지고 있다. 대통령실은 25일 강훈식 대통령 비서실장 주재로 통상대책회의를 열고, 이례적 상황에 대한 대응전략을 모색했다. 주요 참석자로는 김용범 정책실장, 위성락 안보실장 등 대통령실 3실장과 구윤철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윤창렬 국무조정실장이 자리했다.
이날 회의는 워싱턴DC에서 25일(현지시간) 개최될 예정이던 '한미 2+2 장관급 회의'가 전격 연기된 직후 열렸다. 대통령실 이규연 홍보소통수석은 회의 개최 사실을 알리며, “한미 관세 협상 전략을 중심으로 논의가 집중될 전망”이라고 전했다. 특히 최근 스콧 베선트 미국 재무장관의 긴급 일정으로 회의가 연기된 것에 대해 정부 측은 “조속히 다음 일정을 협의하겠다”고 강조했다. 다만, 외교가 일각에선 협상 지연이 한미 통상 현안의 난항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오고 있다.

회의에서는 미국 측과 향후 협상 일정 조율 방안, 현 시점에서의 대응 필요 사항 등 복수 대안이 제시된 것으로 알려졌다. 또한 전날 워싱턴DC 방문 후 귀국한 위성락 안보실장이 방미 주요 결과를 직접 보고했다. 위 안보실장은 서면 브리핑을 통해 “마코 루비오 국무장관 겸 국가안보보좌관, 앤디 베이커 부통령 국가안보보좌관, 하워드 러트닉 상무장관, 제이미슨 그리어 미국무역대표부 대표, 앨리슨 후커 국무부 정무차관 등과 협의를 진행했다”고 개괄했다.
정치권 안팎에서는 한미 협상이 연이어 미뤄진 배경을 주목하고 있다. 대통령실은 “협상 재개 의지와 함께, 통상 현안에 대한 국민 불안 해소를 우선하겠다”고 밝혔다. 반면 일각에선 “관세 문제 등 핵심 사안에서 미국 측 우선순위가 낮아지는 것 아니냐”는 시각도 나온다.
이후 한미 간 통상 협상 재개 시점과 계기, 주요 쟁점에 따라 정국 분위기 역시 요동칠 것이란 전망이 우세하다. 정부는 미국과 긴밀히 소통하며 조속한 2+2 회의 일정을 다시 잡겠다는 입장을 재확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