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보훈 매개로 한미동맹 굳건함 확인”…권오을, 6·25 정전협정 기념식 참석 위해 방미
정치

“보훈 매개로 한미동맹 굳건함 확인”…권오을, 6·25 정전협정 기념식 참석 위해 방미

전민준 기자
입력

보훈을 둘러싼 한미동맹의 상징성과 실질적 협력이 다시 주목받고 있다. 권오을 국가보훈부 장관이 취임 후 첫 일정으로 미국 방문길에 오르며, 6·25전쟁 정전협정 기념식 참석과 참전용사 예우를 내세웠다. 양국 보훈 및 안보 분야 협력 강화 의지를 드러내면서도, 정전협정 72주년을 맞아 정치권의 외교 행보에도 관심이 쏠리고 있다.

 

국가보훈부는 25일 "권오을 장관이 26일부터 29일까지 미국을 방문해 워싱턴DC에서 열리는 6·25전쟁 정전협정 기념식에 참석한다"고 밝혔다. 권 장관은 취임 후 첫 공식 외교 일정으로, 볼티모어에서 개최되는 ‘버팔로 솔저’ 정기총회에 우선 참석한다. 버팔로 솔저는 1948년 해리 S. 트루먼 미국 대통령의 군 내 인종차별 철폐 지시에 따라 창설된 흑인 24보병연대를 의미한다. 이 부대는 1950년 7월 부산에 상륙한 후 낙동강 전선 격전지에 투입된 바 있다. 권 장관은 이번 행사에서 참전용사 3명에게 ‘평화의 사도 메달’을 직접 수여할 계획이다.

권오을 장관은 27일 워싱턴DC 한국전 참전비에서 여는 6·25전쟁 정전협정 기념식에서 기념사를 낭독한다. 이 자리에는 더글라스 콜린스 미국 보훈부 장관, 이반 카파시 백악관 국가안보회의 선임보좌관 등 한미 양국 주요 인사가 참석한다. 권 장관은 기념사에서 “미국을 비롯한 유엔 참전국과 용사들에게 경의를 표하고, 평화와 안보는 물론 경제와 산업 등 각계 전반을 포괄하는 동맹의 중요성을 강조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특히 권 장관은 기념식 전 한국전 참전용사 기념재단 존 틸러리 이사장 등과 간담회를 갖고, 이후에는 주한미군전우회 회장 커티스 스카패로티 전 연합사령관 등과 주한미군 장병 예우와 한미동맹 강화 방안을 협의할 계획이다. 이를 계기로 한미 전략적 협력이 보훈 차원에서도 더욱 강화될 것으로 기대된다.

 

권오을 장관은 “이재명 정부 첫 국가보훈부 장관으로 취임과 함께 미국을 찾는 것은 보훈을 매개로 한 한미동맹의 굳건함을 확인하고, 양국 정부 간 협력을 강화하기 위한 것”이라고 밝혔다. 정치권 일각에서는 한미동맹의 보훈 상징성이 대외 전략의 핵심으로 재부각되는 계기가 될 것이라는 평가도 나온다.

 

한편, 권 장관의 방미 일정이 마무리되는 대로 국가보훈부는 미국 참전용사 예우, 한미동맹 발전, 참전국 간 지속적 교류 확대 방안도 논의할 계획이다.

전민준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권오을#6·25정전협정#한미동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