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브리핑 영상 왜곡 유포, 법적 책임질 수 있어”…이규연 홍보수석, 명예훼손 경고 조치 강화
정치 현장의 쌍방향 브리핑을 둘러싼 논란이 다시 수면 위로 떠올랐다. 대통령실이 브리핑 영상 편집·변조 문제에 강경 대응을 천명하며 명예훼손 경고 조치를 공식화했다.
이규연 대통령실 홍보소통수석은 8월 24일 “발표자와 기자 간 질의 응답 내용을 과도하게 왜곡하거나 조롱하는 부작용이 일부 확인됐다”며 “브리핑 영상이 자의적으로 편집·유포될 경우 명예훼손에 해당할 수 있음을 KTV 화면 자막을 통해 명확히 알리겠다”고 밝혔다. 대통령실은 지난달 쌍방향 브리핑 시행 한 달 시점에 이미 자제를 촉구했으나, 실효성 강화를 위해 자막 삽입이라는 후속 조치를 도입했다고 설명했다.

앞으로 KTV 중계 화면에는 ‘브리핑 영상을 자의적으로 편집·왜곡해 유포하는 행위는 명예훼손에 해당할 수 있으므로 법적 책임을 질 수 있다’는 문구가 고지된다. 이 수석은 “민간 방송사에서도 이 같은 방침에 동참해주시길 바란다”며 방송업계 협조도 요청했다.
그러나 대통령실은 쌍방향 브리핑의 순기능을 강조하며, 이를 이재명 정부 출범 80일간의 대표 성과 가운데 하나로 꼽았다. 이 수석은 “질의응답 공개 이후 익명 취재원이 실명으로 전환되고, 정책 홍보의 투명성·신뢰성 또한 상승했다”고 말했다. 한국기자협회 기자 대상 조사 결과 ‘브리핑에 긍정적’ 의견이 49.2%로, 부정적 견해 30.1%를 크게 앞섰다는 수치도 근거로 제시했다.
브리핑의 양적 활성화도 두드러진다. 대통령실은 최근 80여일 동안 하루 평균 2.2회, 총 173회의 정례 브리핑을 진행했다고 밝혔다. 이는 전임 정부 평균의 두 배에 달하는 수치다. 또 “이 대통령이 역대 어느 정부보다 빠른 취임 30일 만에 첫 기자회견을 성사시켰고, 두 번째 회견도 가장 빠르게 준비하겠다”고 강조했다. 다만 구체적 시점은 밝히지 않았다.
한편 대통령실은 향후 브리핑 소통 플랫폼 고도화도 예고했다. 이규연 수석은 “청와대로 이전하면 라이브 스튜디오 환경을 구축하겠다”며 “정책 관계자들이 국민과 더 자주, 더 깊게 소통하는 시스템을 만들 것”이라고 밝혔다. 이어 “국가 브랜딩 작업 역시 착수 중이며, 조만간 결과가 도출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정치권은 대통령실의 명예훼손 경고 조치를 놓고 언론 자유 논란과 소통 강화의 균형점 찾기에 분주한 모습이다. 정부는 브리핑 투명성 제고와 명예 보호 조치 병행에 힘을 쏟으며, 새로운 대통령회견 방식 정착에 속도를 낼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