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 데이터센터 리튬 배터리 화재”…70개 정부 서비스 중단, 복구 총력
국가 클라우드 데이터센터에서 발생한 리튬 이온 배터리 화재가 정부 디지털 서비스의 새로운 취약점으로 부각되고 있다. 27일 행정안전부와 소방청에 따르면 전날 오후 8시15분, 대전 유성구 소재 국가정보자원관리원(국정자원) 5층 전산실에서 화재가 발생해 70개 정부 서비스가 중단됐다. 이번 화재는 정부24, 국민신문고, 모바일 신분증 등 핵심 서비스 접근까지 어렵게 하면서 전국 각지의 디지털 공공 인프라 신뢰도에 심각한 파장을 미치고 있다. 업계와 정부는 현대 행정 시스템에서 데이터센터 안전이 얼마나 중요한지 재확인하는 계기로 작용할 수 있다고 평가한다.
행안부에 따르면 피해 현장에서는 리튬 이온 배터리가 폭발적으로 연소하면서 진화에 난항을 겪었다. 김기선 유성소방서장은 “리튬 이온 배터리 특성상 진화가 쉽지 않아, 최종 연소까지 시간을 두고 관리하고 있다”고 밝혔다. 화재 신고 접수 5분 만에 1도 화상을 입은 인명 사고도 파악됐다. 100여 명의 직원들이 자력 대피하는 동안, 전산실 내 1등급 12개, 2등급 58개 등 총 70개 중요 서비스가 일제히 정지된 것으로 확인됐다.

디지털 정부 핵심 인프라인 국정자원관리원은 자체 전력공급, 백업, 물리적 보안이 중첩된 설계를 기반으로 해 왔다. 하지만 리튬 이온 배터리 기반 무정전 전원공급장치(UPS)는 최근 대규모 데이터센터에서 보편적으로 쓰이나, 고온·과전류 노출 시 폭발과 장기 연소 위험이 내재한다. 국내 첫 대규모 공공 데이터센터 배터리 화재 사례로, 기존 소화 시스템만으론 효과적 제어가 어렵다는 점이 다시 드러났다. 최근 미국, 유럽 주요 데이터센터 역시 리튬 배터리 화재로 인한 서비스 중단 경험을 겪으며, 대체 냉각 및 분리 시스템, 배터리 미분기 구획관리 등 보완책을 강화하고 있다.
전국 119 긴급신고, 출동 시스템은 정상 동작 중이지만, 영상·문자 등 다채널 데이터 서비스 장애도 일부 발생했다. 정부는 위기상황대응본부를 즉각 가동하고, ‘경계’ 위기경보 발령과 대국민 안내 조치, 복구 총력 체제로 전환했다. 윤호중 행정안전부 장관, 김민석 국무총리 등은 “가용한 모든 장비와 인력을 총동원해 신속 복구하라”고 지시했다.
국가 데이터센터의 광범위한 서비스 장애는 디지털 정부 전환의 동맥 역할을 하는 IT 인프라의 “단일 실패점(single point of failure)” 위험을 재조명한다. 전문가들은 “디지털 정부 신뢰 회복을 위해 배터리 안전 설계 강화, 백업센터 이원화, 고도 화재감지 체계 구축이 시급하다”고 입을 모은다.
산업계는 공공·민간을 막론, 데이터센터 에너지·화재 리스크가 전면에 떠오른 만큼, 재난대응 설계와 규제 기준 재정비가 필수 과제로 보는 분위기다. 기술과 물리·제도적 안전의 균형이 디지털 인프라의 미래 경쟁력이 될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