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2차 체포영장 집행”…정성호 법무, 구치소 협조 지시
윤석열 전 대통령의 체포 여부를 둘러싼 정치권의 긴장이 극에 달하고 있다. 민중기 특별검사팀은 7일 오전 경기 의왕시 서울구치소에서 윤 전 대통령에 대한 2차 체포영장 집행에 나설 예정이며, 법무부가 구치소에 적극적인 협조를 지시하면서 사법 당국 간의 공방도 거세질 것으로 예상된다.
특검팀은 체포영장 기한 만료일에 맞춰 재집행을 추진한다. 이는 지난 1일 1차 체포 시도에서 윤 전 대통령이 바닥에 누운 채 집행을 거부하며 영장 집행이 무산된 후, 엿새 만에 재도전하는 셈이다. 특히 이번 재집행은 김건희 여사에 대한 첫 소환조사가 이뤄진 바로 다음 날 이뤄져, 수사 압박이 한층 고조되는 상황이다.

민중기 특별검사는 언론 브리핑을 통해 "체포영장 기한 내 집행 불가 시 영장을 다시 발부받기 위한 절차를 밟겠다"며 원칙적 입장을 밝힌 바 있다. 앞서 체포영장 집행이 거듭 저지됐던 점을 감안해, 특검팀은 필요시 물리력 동원도 불사하겠다는 입장이다. 법무부는 이날 정성호 장관이 "법과 원칙에 따라 엄정하고 공정한 법 집행이 이뤄지도록, 특검의 체포영장 집행 업무에 적극 협조하라"고 서울구치소에 지시했다고 전했다.
정치권에서는 특검팀과 법무부가 '공정한 집행'을 강변하며 여론전 양상까지 보이고 있다. 다만 윤석열 전 대통령 측 변호인단인 배보윤 변호사는 지난 체포영장 집행 시도 후 "조사 일정과 방식을 협의하겠다"며 변호인 선임계를 제출했으나, 실제로 특검팀과의 논의가 이뤄졌는지는 확인되지 않았다. 이에 대해 윤 전 대통령 측은 "절차적 정당성 및 인권 보장"을 강조하며, 특검의 강경조치에 강한 우려를 표했다.
이번 사태를 두고 정치권과 시민사회는 뜨거운 논쟁을 이어가고 있다. 특검의 강제집행 방침에 대한 지지와 우려가 엇갈리는 가운데, 수사의 향방과 정국에도 적지 않은 파장이 예상된다.
이날 구치소에서 2차 체포영장이 집행될 경우, 특검 수사와 향후 재판 일정에 속도가 붙을 전망이다. 반면 또다시 집행이 좌절된다면, 특검의 수사 동력이 꺾일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정치권은 특검의 체포집행 시도와 여기에 대한 법무부의 공식 입장 표명을 두고 격렬한 공방을 벌이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