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월 PCE 물가 2.7% 상승”…미국, 인플레이션 부담 지속에 금리 정책 주목
현지시각 26일, 미국(USA) 상무부는 8월 개인소비지출(PCE) 가격지수가 전년 동월 대비 2.7% 상승했다고 발표했다. 이는 2024년 4월 이후 1년 4개월 만에 가장 높은 상승률로, 인플레이션이 다시 고개를 들고 있다는 평가가 나온다. 시장의 관심이 고조되는 가운데 이번 발표는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의 금리 정책 방향성과 세계 경제에 즉각적 영향을 미쳤다.
상무부에 따르면 이번 8월 PCE 가격지수는 전월 대비로도 0.3% 올랐다. 근원 PCE 가격지수(에너지와 식료품 제외)는 전년 대비 2.9% 상승해 지난 2월(3.0%) 이후 6개월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다. 명목 개인소비지출도 전월보다 0.6% 늘어 전망치(0.5%)를 상회했다. 같은 기간 명목 개인소득은 0.4% 증가하며 시장 기대(0.3%)를 웃돌았다.

미국(USA)이 지난 수개월 간 기준금리 고공행진에도 불구하고, 소비자와 기업의 지출과 소득이 견고하게 유지된 점이 이번 수치에 반영된 것으로 풀이된다. PCE 가격지수는 미국 내 소비재 및 서비스 물가 변동을 측정하는 핵심 지표로, Fed는 주로 이 데이터를 토대로 통화정책을 조정하고 있다.
각국 금융시장과 투자자들은 8월 PCE 물가 수치가 1년여 만에 고점을 기록했음에도 불구하고, 시장 예상 범위 내에서 발표됐다는 점에 주목하며 금리 인하 기대감을 유지하는 분위기다. 연준은 이달 경제전망(SEP)에서 올해 말 PCE 상승률을 3.0%로 전망한 바 있는데, 실제 수치가 이와 부합함에 따라 단기적 정책 변경 가능성은 크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제롬 파월 연준(Fed) 의장은 현지시각 17일 기자회견에서 “추가 관세 정책이 물가에 미칠 영향이 2024년 연말까지 누적될 수 있다”며 인플레이션 위험이 여전히 상존한다고 강조했다. 이 같은 신중 기조에 따라 연준은 경제지표와 관세 동향을 면밀히 점검하며 올해 말과 내년 중 정책 조정 여부를 검토할 것으로 전망된다.
시카고상품거래소(CME) ‘페드워치’에 따르면, PCE 데이터 공개 후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가 12월까지 기준금리를 0.50%포인트 내릴 가능성이 64%로, 하루 전(61%)보다 소폭 줄었다. 뉴욕타임스 등 미국 주요 매체는 “이번 PCE 발표로 시장의 낙관이 꺾이지 않았다”고 분석했다.
전문가들은 미국 소비·소득 지표가 한동안 견조할 것으로 내다보면서도, 높은 물가 수준과 금리 정책 불확실성이 반복적으로 시장 변동성을 키울 수 있음을 경고했다. 앞으로 미국(USA) 연준의 인플레이션 관리와 금리 결정이 세계 금융시장의 주요 변수로 작용할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