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양국 대사 부재 속 정상회담 임박”…한미 외교 사상 초유의 상황에 긴장 고조
정치

“양국 대사 부재 속 정상회담 임박”…한미 외교 사상 초유의 상황에 긴장 고조

배주영 기자
입력

한미 정상회담을 앞두고 양국에 각각 파견된 대사가 모두 자리하지 않은 가운데 정상 간 회담이 임박해지면서 외교 현장에서 긴장감이 고조됐다. 양국 정권교체에 따라 대사 자리가 동시에 공석이 된 것은 극히 이례적이다.

 

5일 외교 소식통에 따르면, 필립 골드버그 전 주한 미국대사는 지난 1월, 조현동 전 주미대사는 지난달 각각 귀임하면서 후임 선임이 지연되고 있다. 현재 서울 주재 미국대사관과 워싱턴DC의 한국대사관 모두 대사대리가 임시로 외교 업무를 이끌고 있다. 양국 정상회담이 임박한 상황에서 대사직 공백이 더 길어질 가능성이 커 외교적 부담이 커지고 있다는 관측이 지배적이다.

미국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달 30일 무역 협상 타결 발표와 함께 이재명 대통령의 조속한 방미 일정을 언급했다. "이재명 대통령이 2주 내 백악관을 방문할 것"이라고 밝히며 양자회담 추진에 속도를 올렸다. 한미 외교장관 회담 역시 워싱턴DC에서 개최돼 구체적 정상회담 시점을 올해 8월 하순으로 조율한 분위기다.

 

하지만 주미대사 부재 하에 한미 정상회담이 성사되는 것은 전례를 찾기 어렵다는 평가가 나온다. 2023년 4월 윤석열 전 대통령 방미 직전에도 대사 공백이 있었으나 조현동 1차관이 곧바로 내정·부임해 회담 직전에 외교 현장에서 공백이 없었던 바 있다. 이에 비해 이번에는 임성남 전 외교부 1차관, 조병제 전 국립외교원장 등 후보군 논의가 길어지는 데다, 정권 교체에 따른 절차가 이전보다 한층 까다로워졌다.

 

미국 측 역시 새 주한 미국대사 지명이 늦어지고 있다. 대사 인준을 위해선 미 의회 청문회를 거쳐야 하는 만큼 올해 안에라도 공식 부임이 이뤄질 수 있을지 불투명하다는 관측도 나온다.

 

정상회담에 꼭 대사가 있어야만 하는 것은 아니라는 의견도 존재한다. 정부 관계자는 "동맹국인 미국과는 각종 채널로 정보를 신속히 공유하고 현안 조율이 이뤄지고 있어 대사가 없다고 실질적인 문제는 발생하지 않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즉, 실무 관료 협의와 외교장관 회담까지 강행된 만큼 정상 간 직접 소통에는 큰 어려움이 없다는 입장이다.

 

그러나 외교 전문가들은, 대사는 외교 현장에서 고위인사와 직접 네트워크를 형성하고 돌발 변수에 신속히 대응할 수 있는 인사인 만큼, 한미 양국 외교 당국 모두 신임 대사 내정·임명에 속도를 높여야 한다고 지적한다.

 

외교부는 현재 신임 주미대사 내정 절차를 조속히 마무리할 계획이다. 미국 측 역시 대사 지명 시기를 단축하는 방안을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한미 양국의 대사 부재 속 정상회담이 현실화될 경우 외교 실무 절차 전반에 미칠 영향과, 주요 외교 사안의 조율 방식에 대한 새로운 모델이 제시될지 주목된다.

배주영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한미정상회담#이재명#트럼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