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건희 여사와 통화했으나 학폭 언급 없었다”…장상윤, 국회서 정면 반박
‘김승희 전 대통령실 의전비서관 자녀 학교폭력 무마 의혹’을 둘러싼 논란이 국회에서 또다시 제기됐다. 장상윤 전 대통령실 사회수석비서관은 30일 국회 교육위원회 국정감사에 증인으로 출석해, 김건희 대통령 부인과의 통화 사실관계와 의혹에 대해 직접 입장을 밝혔다.
더불어민주당 문정복 의원이 ‘2023년 7월 20일 김건희 여사와 8분 49초간 통화한 사실이 있느냐, 부적절하지 않느냐’는 질의에 대해 장상윤 전 수석은 “통화한 기억이 있다”며 “적절성 여부를 떠나 걸려 온 전화를 받은 것”이라고 답했다. 이어 ‘통화가 학폭 무마를 위한 내용이었느냐’는 질문에는 “전혀 아니다. 학폭 얘기는 전혀 없었다”고 잘라 말했다.

장상윤 전 수석은 당시 교육부 차관이었다. 그는 “김 여사의 정확한 멘트는 기억나지 않지만 사회적으로 논란이 컸던 교육 현안들에 대한 걱정과 우려를 전했다”고 밝혔다. 또한 “전화가 온 날은 서이초 교사가 사망한 지 이틀 후였고, 김 여사가 교육부가 잘 대처했으면 한다고 말했다. 개인적으로 아는 사이가 아니어서 전화 자체가 이례적으로 느껴졌다”고 설명했다.
이어 민주당 의원들은 김건희 여사와 연락이 정부 인사의 독립성을 침해할 여지를 제기했다. 그러나 장상윤 전 수석은 “전화 의도는 정확히 모르겠으나, 적절하다 아니다를 판단하기 어렵다”고 재차 언급했다. ‘박사 논문 표절 관련 언급이 있었느냐’는 질문에도 “없다”고 선을 그었다.
또한 장상윤 전 수석은 “언론보도에 따르면 학폭 사건 접수일은 김 여사와의 통화 하루 전인 2023년 7월 19일이다. 교육부는 개별 학폭 사안을 즉시 파악할 수 없어, 통화 다음날 바로 그런 이야기가 나왔다는 주장 자체가 난센스”라며 의혹을 반박했다.
이에 대해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의 신뢰와 공직 사회의 투명성 확보’를 강조하며, 유사 사례 재발 방지를 위한 제도적 보완 필요성을 제기했다. 여당 측은 “사실관계와 무관한 정치공세”라며 엄정 대응 의지를 밝혔다.
국회 교육위원회는 이날 김건희 여사 통화 논란 등 정쟁 이슈를 중심으로 치열한 공방을 이어갔다. 정치권은 대통령 부인 관련 의혹과 공직사회 독립성 문제를 놓고 격돌하는 양상을 지속할 전망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