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생개혁 단일대오”…민주당·진보4당, 교섭단체 요건 완화·결선투표제 연대 강조
정치개혁을 둘러싼 협상 테이블에서 더불어민주당과 진보 4개 야당이 다시 손을 맞잡았다. 교섭단체 구성요건 완화와 결선투표제 도입 등 핵심 제도를 놓고 논의가 급물살을 타는 모양새다. 상반기 여야 갈등 여파 속에 야권의 연대 움직임이 더 강화될 것이란 전망이 제기된다.
5일 국회에서 열린 간담회에서 더불어민주당 김병기 원내대표는 조국혁신당, 진보당, 기본소득당, 사회민주당 등 진보 성향 4당 원내대표 그 외 대표들과 회동했다. 김병기 원내대표는 “우린 민생 개혁의 단일대오”라며 “완전한 내란종식, 민생경제 회복, 국민 통합의 길을 함께 열어가야 한다”고 밝혔다.

그는 이날 국회 본회의에서 방송법 개정안이 통과된 점을 들며 “민주당과 진보개혁 4당 모두의 성과”라고 강조했다. “앞으로도 우리 연대는 계속될 것이고 더 굳건해질 것”이라고 밝힌 김 원내대표는 “구존동이, 즉 차이는 인정하되 공동 이익을 추구하자는 태도로 국민 모두의 이익을 위해 함께 노력하겠다”고 덧붙였다.
조국혁신당 서왕진 원내대표도 “내란 종식과 헌정수호를 위한 강고한 연대는 물론, 정치개혁·사회 대개혁·기본권 강화와 권력기관 개혁 등 큰 줄기의 원칙과 중요 과제를 함께 하겠다”고 호응했다. 이어 “지난 4월 15일 다섯 당이 합의한 원탁회의 선언을 실현하기 위한 후속 조치가 시급하다”고 촉구하며 “우선 원내대표단 차원에서 정치개혁 과제 논의를 시작해달라”고 공식 요청했다.
진보 4당은 교섭단체 구성요건 완화와 결선투표제 도입, 기초의원 선거구를 3∼5인으로 하는 중대선거구제 도입 등 실질적인 정치개혁 방안을 제기했다. 사회민주당, 진보당, 기본소득당 등도 관련 논의에 연대할 방침임을 분명히 했다.
간담회 후 더불어민주당 김현정 원내대변인은 “그동안 당 대표 선거 과정이 있었기 때문에 야당과의 협의가 잘 진행되지 못한 측면이 있었다”면서 “오늘 간담회 내용을 정청래 대표께 보고드리고, 앞으로 관련 논의를 이어가기로 했다”고 설명했다.
이날 국회는 선거제도와 정치개혁을 둘러싸고 야권 연대 움직임이 본격화되는 양상을 보였다. 정치권은 각종 제도 개혁을 포함해 민생경제·정치개혁·국민통합을 위한 협상을 지속할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