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외·원내 ‘투트랙’ 총력전”…국민의힘, 정부조직법 앞두고 필리버스터 검토
정부조직법 개정안을 두고 여야가 정면 대치에 들어갔다. 국민의힘은 장외집회와 원내 필리버스터 카드를 동시에 꺼내며 거대 여당인 더불어민주당을 압박하는 총력전에 나섰다. 장외투쟁 강도를 높이며 당 내부 전략도 분주하게 조정되는 모습이다.
22일, 국민의힘은 국회에서 정책 의원총회를 열고 더불어민주당이 25일 본회의에 상정할 예정인 정부조직법을 중점적으로 논의했다. 이날 상임위 간사들은 쟁점 법안에 대한 설명을 이어갔으며, 대응책으로 필리버스터 가능성도 거론됐다.

이와 관련해 송언석 국민의힘 원내대표는 "이재명 정권이 내놓은 정부조직 개편안은 행정부 조직을 대상으로 한 생체 실험으로밖에 볼 수 없다"고 비판했다. 이어 "조직의 유기적 기능은 살피지 않고 오로지 정치적 목적으로 쪼개고 붙이는 식의 조직 개편은 행정부 기능을 마비시킬 우려가 크다"고 주장했다. 특히 "환경부에 원전 건설과 운영 업무를 주게 되면 탈원전 시즌2로 간다는 얘기밖에 되지 않는다"며, "기획재정부를 해체해 기획예산처를 총리실 산하에 두겠다는 건 예산권을 용산에서 직접 쥐겠다는 발상"이라고 강조했다.
의총에선 모든 법안에 대한 전면적 필리버스터 도입 여부가 논의됐으나 결론은 유보됐다. 최은석 국민의힘 원내수석대변인은 의총 직후 "모든 법안에 대해서 필리버스터를 할지, 쟁점 법안에 대해서만 할지 의원들 의견을 더 들어보고 수요일에 다시 의총을 열어 정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다만 "전체 법안에 대해 시행해야 한다는 의견에 무게가 실린다"는 설명도 덧붙였다.
국민의힘은 필리버스터로 민주당의 이른바 ‘입법 폭주’를 대중적으로 부각시키는 한편, 논쟁을 추석 연휴까지 이어가 여론 선점에 나선다는 방침이다. 또한, 본회의가 필리버스터로 장기화될 경우 사회를 맡는 우원식 국회의장과 범여권에도 상당한 부담이 될 수 있다는 계산이다.
당 지도부는 전국 현장 행보와 여론전도 병행 중이다. 22일 경북 경산에서 열린 현장 최고위원회에서는 이재명 대통령과 여당을 겨냥한 비판 발언이 잇따랐다. 전날 동대구역에서 개최된 대규모 장외집회에 이어, 영남 지역에서 연이틀 민심 확보를 위한 행보를 보였다. 주말에는 대전에서 지역 민심 청취와 최고위원회를, 27일에는 서울역에서 대규모 집회를 계획하고 있다.
그러나 장외투쟁을 둘러싼 내부 이견도 확인됐다. 김대식 의원은 YTN 라디오에서 "국회에서 답을 찾아야 한다고 생각하지만 오죽했으면 5년 만에 대구를 다시 찾았겠느냐"며 "민주당의 폭주를 멈추라는 국민의 준엄한 외침"이라고 발언했다. 반면 김재섭 의원은 SBS 라디오에서 "중도층 마음을 돌리는 데 장외투쟁은 거의 효과가 없다"며 차기 집회 불참 의사를 밝혔다.
정치권은 정부조직법 처리를 두고 격렬한 공방을 이어가고 있다. 국민의힘은 강경 투쟁 카드를 다양하게 검토하고 있으며, 오는 수요일 추가 의총에서 최종 전략을 확정할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