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희대 회동설 파장”…국민의힘, 서영교·부승찬 의원 등 허위사실 유포 혐의 고발 방침
‘조희대·한덕수 회동설’을 둘러싼 정치권 설전이 격화하고 있다. 국민의힘이 더불어민주당 서영교, 부승찬 의원을 경찰에 고발하기로 결정하면서 갈등이 한층 고조됐다. 정청래 대표 등 민주당 의원과 유튜버 김어준 씨까지 고발 대상에 포함될 전망이다.
국민의힘은 22일 오전 공식 입장문을 통해 “조희대 대법원장을 겨냥한 정치공작과 허위사실 유포에 단호히 대응하겠다”며 “서영교, 부승찬 의원을 상대로 즉각 고발장을 제출할 것”이라고 밝혔다. 국민의힘은 또, 정청래 등 민주당 의원 10여명과 유튜버 김어준 씨를 유언비어 유포 혐의로 추가 특정해 법적 대응에 나설 방침까지 언급했다.

서영교 의원은 지난 5월 국회 법제사법위원회 전체회의에서, “조희대가 ‘이재명 사건이 대법원에 올라오면 내가 바로 정리하겠다’고 발언했다는 제보를 받았다”고 주장했다. 그는 해당 내용이 녹취된 음성 파일을 회의장에서 공개해 논란이 확산됐다. 이에 대해 국민의힘은 “녹취 파일의 음성은 인공지능(AI)으로 조작된 것”이라는 입장을 내놨다.
부승찬 의원 역시 16일 국회 대정부질문에서 “윤석열 전 대통령에 대한 헌법재판소 파면 직후인 4월 7일, 조희대 대법원장이 한덕수 전 국무총리, 정상명 전 검찰총장, 윤 전 대통령의 장모 최은순 씨 측근으로 알려진 김충식 씨와 오찬을 가졌다는 제보가 있다”고 밝혔다.
국민의힘의 이 같은 조치는 민주당을 중심으로 제기된 '조희대·한덕수 회동설'이 허위사실에 기반한 정치공작이라는 반박 논리가 맞서며, 여야 정면충돌 양상으로 비화되고 있다. 민주당 일부 의원들은 “회동설 제기는 국민 알 권리 보호 차원”이라는 입장이지만, 국민의힘은 실체 없는 허위사실 유포라며 강력한 대응을 시사했다.
정가 안팎에서는 이번 고발 방침과 관련해 22대 국회 전반기 상임위 배분 등 여야 협상의 난항, 대법원장 등 사법부 인선 갈등까지 맞물리면서 정국 경색이 심화될 것이란 전망이 제기된다. 한 정치권 관계자는 “이번 회동설을 둘러싼 대립이 향후 사법·정치개혁 논의 전반에도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분석했다.
정치권의 법적 대응이 본격화되면서, 조만간 소환 조사 등 사법 절차가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 국회는 이번 사안과 관련해 추가 논쟁이 지속될 가능성이 높다는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