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NG 발전 자회사 유동화로 3조 원 확보”…SK이노베이션, 재무구조 개선에 속도
SK이노베이션이 25일 LNG 발전 자회사인 나래에너지서비스와 여주에너지서비스의 유상증자를 통해 3조 원 규모의 자금을 확보했다고 공시했다. 두 자회사의 지분 유동화가 이번 자금 조달의 핵심 배경으로, 확보된 자금은 SK이노베이션 재무구조 개선에 적극 활용된다. 이번 조치는 그룹 전반의 재무 건전성 제고와 함께 에너지 포트폴리오 강화에 대한 시장의 기대를 높이고 있다.
SK이노베이션에 따르면, 나래에너지서비스와 여주에너지서비스는 각각 1조6,500억 원, 1조3,500억 원의 제삼자 배정 유상증자를 결정했다. 발행된 전환우선주는 메리츠금융이 설립한 특수목적법인 ‘넥스젠에너지제1·2호’가 인수했으며, 이로써 SK이노베이션은 총 3조 원을 조달하게 됐다. 이 중 2조4,100억 원은 차입금을 상환하는 등 재무구조 건전성 강화에 투입된다.

시장에서는 이번 대규모 투자 유치가 재무 부담 경감과 현금흐름 안정화에 긍정적으로 작용할 것으로 평가하고 있다. 업계 관계자들은 “최근 국내외 금리·유가 변동성이 커지는 상황에서 과감한 유동화 전략이 중장기 경쟁력 확보에 의미가 있다”며 “재무구조 개선과 신규 투자 재원 확보가 동시에 이뤄진 점에 주목한다”고 말했다.
메리츠금융은 2030년 4월부터 2035년 10월까지 전환우선주를 보통주로 전환할 수 있는 권한을 갖는다. 전환 완료 시에는 두 자회사의 지분 50.1%를 확보하게 되지만, SK이노베이션 역시 매도 제안권을 보유해 경영권을 유지할 수 있는 장치를 마련했다. SK이노베이션 관계자는 “경영 안정성과 LNG 밸류체인 경쟁력을 모두 추구하겠다”고 밝혔다.
나래에너지서비스와 여주에너지서비스는 각각 수도권 열병합 및 LNG 복합화력발전소 운영을 맡고 있으며, 지난해 영업이익은 각각 1,656억 원과 1,966억 원을 기록했다. 업계에선 이번 거래가 2018년 SK이노베이션이 자회사 파주에너지서비스 일부 지분을 매각한 전례와 유사하다는 평가다. 당시는 소수 지분 매각에도 SK이노베이션이 경영권을 유지하며 발전소 운영을 이어갔다.
LNG 발전소와 같은 대규모 인프라 사업에서 지분 유동화는 부채 감축과 추가 성장 재원 확보의 수단으로 꾸준히 활용되고 있다. SK이노베이션은 E&S를 통해 코원에너지서비스, 부산도시가스 부지 처분 등 비핵심 자산 유동화도 병행하는 등 LNG 밸류체인 강화에 주력해 왔다.
SK그룹은 최근 가스·전기 등 에너지 부문 투자 확대에 힘을 싣고 있으며, SK이노베이션 E&S는 국내 민간 기업 중 최초로 LNG 밸류체인 완성을 이룬 만큼, 자본 확충을 계기로 국내외 사업 확장에도 속도를 낼 전망이다.
향후 정책 방향은 그룹의 에너지 사업전환, 재무구조 관리와 맞물릴 것으로 보이며, 시장에서는 SK이노베이션의 추가 자산 유동화와 에너지 밸류체인 투자 전략에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