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AI가 창업 진입장벽 낮췄다”…퓨리오사AI 김한준 CTO, AI 혁신이 창업 생태계 변화 견인
경제

“AI가 창업 진입장벽 낮췄다”…퓨리오사AI 김한준 CTO, AI 혁신이 창업 생태계 변화 견인

이도윤 기자
입력

AI 반도체 스타트업 퓨리오사AI의 김한준 공동창업자 겸 최고기술책임자(CTO)는 19일 “AI 에이전트 활용으로 창업의 기회비용이 낮아지면서, 지금이야말로 창업에 도전하기 좋은 시기”라고 밝혔다. 이날 강남구 한국고등교육재단에서 최종현학술원과 재단이 공동 개최한 ‘AI 스타트업 토크’ 강연에서다.  

 

이 행사에는 김 CTO와 함께 조강원 모레 CEO, 이주형 마크비전 AI 총괄도 연사로 참여해 현재 한국 AI 스타트업 생태계의 흐름과 혁신 환경을 집중 조명했다. 전문가들은 AI 기술이 추론 중심으로 이동하면서 전력 소모와 컴퓨팅 파워 확보가 기업 경쟁력의 중심으로 떠오르고 있다고 진단했다. 김 CTO는 “AI 반도체 시장에서 엔비디아가 선두를 달리고 있으나, 퓨리오사AI는 저전력 AI 칩의 추론 영역에서는 충분한 경쟁력을 확보했다”고 강조했다.  

출처=한국고등교육재단
출처=한국고등교육재단

조강원 CEO는 “AI 경쟁의 본질은 컴퓨팅 인프라와 이를 극대화하는 소프트웨어”라며, 다양한 하드웨어에 최적화된 인프라 소프트웨어 개발의 중요성을 언급했다. 이주형 총괄 또한 “위조상품 문제 등 글로벌 지식재산권 보호를 위한 AI 기반 탐지·차단 시스템의 수요가 커지고 있다”고 설명했다.  

 

세 연사는 “AI 시대에는 문제 자체를 정의하는 역량이 더욱 중요하고, 창업과 채용 환경 변화에도 불구하고 실행력과 문제 해결력이 있는 인재에게는 여전히 많은 기회가 열려 있다”고 분석했다.  

 

한편, 김유석 최종현학술원 대표는 인재 양성 중요성을 강조하며 “재단은 미래를 이끌 인재 발굴에 집중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향후 창업 생태계는 AI 기술의 발전에 따라 더욱 경쟁적으로 재편될 전망이다.

이도윤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퓨리오사ai#김한준#ai스타트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