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동차

“전기차-충전기 상호운용성 혁신”…한국전기연, 세계 첫 시험센터 안산 개소→품질 표준 주도

최유진 기자
입력

전기차 충전 인프라의 신뢰성과 효율성 강화를 위해 세계 최초의 전기차-충전기 상호운용성 시험센터가 설립됐다. 한국전기연구원은 25일 안산분원에서 ‘글로벌 상호운용성 시험센터(GiOTEC)’ 개소식을 개최, 다양한 제조사가 개발한 전기차와 충전기의 통신 오류 및 호환성 이슈 해소를 위한 새로운 플랫폼 도입을 공식 선언했다. 전기차 충전 시장이 급속히 팽창하고 있지만, 상이한 제조사 간 표준 해석의 미묘한 차이로 각종 충전 오류가 빈번하게 발생하는 현실에서 산업계의 효율적 발전을 도모하는 결정적 이정표로 평가된다.

 

상호운용성, 즉 차량과 충전기 사이에서 표준 통신 규약에 따라 충전이 원활하게 이뤄지는 구조는 미래 전기차 산업의 핵심 요건이다. 글로벌 대표 완성차 기업들과 다수 국내외 충전기 업체들이 시장에 참여하면서 각 사의 해석 및 구현 방식에는 미세한 차이가 발생한다. 특히 PnC(Plug and Charge, 차량 내 인증서 기반 충전∙결제)와 V2G(Vehicle-to-Grid, 양방향 충전) 등 고차원 기술의 상용화가 본격화하면서 호환성 문제가 더욱 부각되고 있다. GiOTEC는 이런 구조적 문제에 대응해 각 제조사가 희망하면 언제든 실차∙실기기 기반 테스트를 자유롭게 진행하고, 자체 시험 결과를 공유하며, 다양한 표준화 데이터를 생산해 신뢰성 제고와 국제표준 선점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전기차-충전기 상호운용성 혁신”…한국전기연, 세계 첫 시험센터 안산 개소→품질 표준 주도
전기차-충전기 상호운용성 혁신”…한국전기연, 세계 첫 시험센터 안산 개소→품질 표준 주도

한국전기연구원은 GiOTEC 플랫폼이 성공적 운영을 위해 현대차, 기아, 벤츠, BMW를 비롯 다수 완성차와 충전기 주요기업과 협업을 추진하며, 회원사 확대 및 기술 기준 마련에 속도를 내고 있다. 회원사는 센터 내에서 6개월~1년간 전기차 또는 충전기를 상시 배치해 교차 테스트가 가능하고, 비회원 기업은 절차에 따라 단기간 내 제품 시험 역시 가능하다. 시험 결과 및 호환성 개선 방안은 제조사 동의시 투명하게 공개되며, 이를 토대로 각 기업은 제품 품질 향상과 전 세계 시장 공략에 한층 유리한 전략을 모색할 수 있다. 전기차 충전기술의 혁신 도약기에 접어든 국내외 시장에서, 한국전기연구원의 GiOTEC 설립은 새로운 도전과제와 기회를 동시에 제공하고 있다. 한국전기연 원장은 “GiOTEC를 통한 신속하고 정확한 시험 시스템은 국내 전기차 산업의 품질 업그레이드와 수출 경쟁력 제고에 중추 역할을 할 것”이라고 밝혔다.

최유진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한국전기연#giotec#전기차충전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