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산 60억원 보유”…김상호 대통령실 비서관, 고위공직자 145명 중 최다 신고
고위공직자 재산공개를 둘러싼 관심이 정치권과 국민 사이에서 다시 높아졌다. 정부공직자윤리위원회가 26일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최근 신분에 변동이 있었던 고위공직자 145명 중 김상호 대통령실 보도지원비서관이 60억7천837만원의 재산을 신고해 가장 많은 재산을 보유한 인물로 이름을 올렸다.
이번에 재산을 신고한 공직자들은 올해 6월 2일부터 7월 1일까지 취임, 승진, 퇴임 등 신분에 변동이 있었던 이들이다. 김상호 비서관은 강남구 대치동 주택, 광진구 구의동 아파트 등 약 75억원 상당의 부동산을 신고했다. 또한 배우자와 자녀가 보유한 1억6천만원 상당의 가상자산, 고 신영복 선생의 '처음처럼' 서화 등 예술품과 골동품 1천400만원어치도 명세서에 포함됐다. 다만 채무 역시 22억9천만원에 달하는 것으로 파악됐다.

김상호 비서관 다음으로는 김영진 법무부 대한법률구조공단 이사장이 59억821만원, 이상경 국토교통부 1차관이 56억6천291만원을 신고해 상위권을 차지했다. 김영진 이사장은 34억6천만원 상당의 부동산과 15억9천만원 예금, 12억8천만원 상당의 증권 투자액을 보유한 것으로 집계됐다. 이상경 1차관은 배우자 명의의 분당구 아파트(33억5천만원)와 본인 및 가족 소유 예금 28억9천만원이 눈길을 끌었다.
이밖에 김용범 대통령실 정책실장은 42억2천421만원, 윤창렬 국무조정실장은 24억2천922만원, 이종석 국가정보원장은 19억9천192만원의 재산을 신고했다. 이종석 원장의 경우 국회 인사청문요청서(6월 10일 기준) 신고보다 약 2천만원이 늘었다. 우상호 대통령실 정무수석(17억2천267만원), 이규연 홍보소통수석(21억496만원), 봉욱 민정수석(43억6천253만원), 하준경 경제성장수석(33억746만원), 문진영 사회수석(55억3천197만원), 하정우 AI미래기획수석(28억6천60만원) 등 주요 참모진도 높은 재산을 신고해 주목을 받았다.
고위공직자들의 재산공개에 대한 정치권의 반응은 엇갈렸다. 일부에서는 고위 공직자의 부동산‧예금 비중에 대한 투명성 강화 필요성을 거론하고 있다. 전문가들 또한 "재산공개는 신뢰받는 공직 윤리 확립의 첫걸음"이라고 진단했다. 다만 최근의 가상자산, 예술품, 금융채무 등 다양한 자산구성까지 포함된 점은 긍정적으로 평가하는 시각도 있다.
퇴직 공직자 중에서는 김동조 전 대통령실 국정기획비서관이 239억4천888만원을 신고해 압도적으로 신고액이 많았다. 다만 직전 신고보다 114억원 가량이 감소했는데, 이는 비상장주식 가치 하락이 주요 요인으로 지목됐다. 장호진 전 대통령실 외교안보특별보좌관(158억1천930만원), 김태효 전 국가안보실 1차장(149억8천567만원) 등도 상당한 재산을 보유한 것으로 나타났다.
정치권과 시민사회에서는 고위공직자 재산공개를 계기로 자산 형성과정 점검 필요성이 제기된다는 지적이 나온다. 정부는 주요 보직자들의 재산 내역에 대해 앞으로도 정기적으로 신고·점검 절차를 강화할 계획이다.